- 영문명
- Measure and Assessment of Self-directed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2015 Revi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규(Lee, SangG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1283~13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에의 시사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 문법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육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강조되고 있는 것은 ’핵심역량‘이며, 국어과의 경우 ’핵심 성취기준‘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둘째,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와 교수·학습과 평가의 일관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운의 변동’ 단원 자기주도적 원리·태도학습모형을 새롭게 구안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사항을 반영하여 원리 및 태도 체계로서의 문법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rying to come up with more practical measures for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by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2015 Revision, which leads to three main implications below. First, one of the things emphasiz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2015 Revision is the core competency . This is a fundamental issue of what to teach, and, as for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it can be understood as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to booster more student participation and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re should be coherence between learning, teaching and evaluation emphasizing the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se, a teaching-learning model followed by an evaluation is created in the unit of phonological variation. The core competency was focused on establishing attitudes with which students t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hrough grammatical knowledge they learned and then reflect their own language use. This model consists of two parts of a grammar class; one focuses on the grammar aspect as an explanatory system, where mainly the teacher explains the grammar using the languages which stimulate students to explore more(teacher 80: students 20), and the other focuses on developing both a principle and an attitude, where students mainly have individual or group activities(teacher 20: students 80).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esent the new direction of grammar education as a principle and attitude system by reflecting the focu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I wanted to chang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2015 개정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사항과 ‘문법’ 교육에의 시사점
Ⅲ. 2015 개정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 따른 ‘문법’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영국과 대만 시민교육과정의 탐색적 논의
- 개념도 적용 통합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대학 교양영어 교육에서 영어 드라마를 활용한 블렌디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 보육교사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 『꽃피는 고래』에 나타난 크로노토프 연구
-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의 성과와 과제
-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운동과 에너지 영역에 대한 개념 이해 특성 분석
-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전략적 탐색
- 원장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과정중심평가의 이해와 활용
- 애착유형별 아동의 교사애착, 정서지능, 생활만족도, 정서행동문제 간 구조분석
- 학생설계전공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 대학교원의 강의준비태도와 학습자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분석
- 노인무용 지도자 양성을 위한 방향 탐색
- 간호리더십 교과목에 적용한 디자인씽킹 교수학습법의 효과
-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들여다보기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자기주도적 문법 교수·학습 방안과 평가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도
- 수학교육에서 제스처의 범주화
- 의대생의 인성과 환자안전태도와의 관계에서 학습윤리의식의 매개효과
-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배려가 중학생의 수업내적동기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몬테소리교육 활동경험에 따른 6,7세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의 차이
- 초·중등 초임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의 변화 양상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팀 창의성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초등학교 체육소외학생 유형 및 지도 방안 탐색
- ‘자기실현’ 과정으로서 뇌교육 5단계 ‘뇌 주인 되기’에 관한 고찰
- 학교급 전환기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부모양육태도 영향요인 검증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 규모에 따른 만족도 비교
- 청소년의 통합 창의성 구성변인과 학업성취 발달 궤적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 교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설계모형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비대면(on-line) 수업의 내용분석
-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 메모하기 전략 교수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보건계열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
- 대학생의 정서지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박사 유학생의 학술논문 수업 설계 연구
- 학습자 중심 수업 참여 교수와 학생의 평가에 대한 인식 탐색
- 아두이노의 여러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장치’ 만들기 발명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생 주도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 임상실습 경험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연구
-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퍼실리테이터 역량 모형 개발
- 한국 EFL 대학생들의 영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우리나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국 국가핵심미술기준(NCAS in visual arts) 분석 및 비교
-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예비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원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학교특성과 교육환경이 중·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상생 방안 탐구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