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528
- 영문명
- Basic Study for Pre-development of Korean Synonyms dictionary based on Mobi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아름(Park Areu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7호, 749~7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유의어를 쉽게 변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물리적 지면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접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유의어 변별 사전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고는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사전의 표제어 선정 및 의미 정보 기술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한국어 유의어 사전에서 다루지 않았던 고급 수준의 부사어를 중심으로 사전의 표제어를 선정하였고, 어휘 및 용례 검색을 위해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김중섭 외, 2017), 『넓은 풀이 우리말 유의어 대사전(낱말 편집부, 2010)』,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1999)』, 국립국어원의 현대 구어 및 문어 말뭉치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현대 한국어 용례 검색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59쌍의 고급 부사 유의어 군을 추출하였으며, 유의어의 공통 특성과 시차 특성을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할 뿐 아니라 최근 검색 단어 및 관심 단어 저장 기능, 퀴즈 등 모바일 환경의 장점을 활용한 의미 정보 기술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의 개발은 모어 화자를 위한 사전 편찬뿐 아니라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so that Korean learners can easily distinguish and use synonyms, bu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 and increase learners accessibility.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this paper focused on vocabulary selection and semantic explanation. To this end, we selected advanced adverb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referred to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 Korean Language Standard Curriculum (Kim Joong-sup et al., 2017) to search for vocabulary and examples. Accordingly, 59 pairs of advanced adverbial synonyms were extracted, and the advantages of the mobile environment were to be utilized as well as to explicitly distinguish commonality and parallax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 of such a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is an essential task for the compilation of native speakers dictionaries as well as for their u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어 유의어 사전 개발 현황
Ⅲ.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등 초임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의 변화 양상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도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과정중심평가의 이해와 활용
- 수학교육에서 제스처의 범주화
- 특수학교 교사의 교권침해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우리나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국 국가핵심미술기준(NCAS in visual arts) 분석 및 비교
-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배려가 중학생의 수업내적동기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리더십 교과목에 적용한 디자인씽킹 교수학습법의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예비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원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물리치료사의 보수교육 규모에 따른 만족도 비교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비대면(on-line) 수업의 내용분석
-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 메모하기 전략 교수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 보건계열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
- 의대생의 인성과 환자안전태도와의 관계에서 학습윤리의식의 매개효과
-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정서지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박사 유학생의 학술논문 수업 설계 연구
- 학교특성과 교육환경이 중·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꽃피는 고래』에 나타난 크로노토프 연구
-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의 성과와 과제
- 아두이노의 여러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장치’ 만들기 발명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운동과 에너지 영역에 대한 개념 이해 특성 분석
- 학생 주도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학교급 전환기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부모양육태도 영향요인 검증
- 임상실습 경험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연구
- 초등학교 체육소외학생 유형 및 지도 방안 탐색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기실현’ 과정으로서 뇌교육 5단계 ‘뇌 주인 되기’에 관한 고찰
-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전략적 탐색
- 원장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학생설계전공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 대학교원의 강의준비태도와 학습자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분석
-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퍼실리테이터 역량 모형 개발
- 노인무용 지도자 양성을 위한 방향 탐색
-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영어 교육에서 영어 드라마를 활용한 블렌디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 시민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영국과 대만 시민교육과정의 탐색적 논의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 교과 논리 및 논술’ 교과목 운영현황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들여다보기
- 청소년의 통합 창의성 구성변인과 학업성취 발달 궤적 간의 관계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자기주도적 문법 교수·학습 방안과 평가
- 몬테소리교육 활동경험에 따른 6,7세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의 차이
- 학습자 중심 수업 참여 교수와 학생의 평가에 대한 인식 탐색
- 보육교사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개념도 적용 통합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팀 창의성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애착유형별 아동의 교사애착, 정서지능, 생활만족도, 정서행동문제 간 구조분석
- 대학생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 한국 EFL 대학생들의 영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설계모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