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지진을 경험한 성인의 생존위험 인식 유형 연구

이용수  83

영문명
A Study on the Recognition Types of Adults Who Experienced Gyeongju Earthquake
발행기관
국가위기관리학회
저자명
하혜란(Ha, Hye Ran)
간행물 정보
『국가위기관리학회보』제9권 제1호,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6년 발생한 경주지진과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을 경험하면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두 건의 지진을 겪으며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며, 한반도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통해 경주지진을 경험한 성인들이 지진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 그 유형을 발견하는 데 있다. Q 방법론의 실행 절차는 Q 진술문 작성, P표본(연구 대상자) 선정, Q 분류(sort), 요인분석 자료를 해석한다. 연구결과는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2개의 유형이 나타났다. 제1유형은 ‘건축물 안전 중시’로 건축물 내진설계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 제2유형은 ‘대피요령 중시’로 지진 발생 시 개인의 신체 및 생명 보호를 위한 행동 요령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진을 경험한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건축물 안전에 관한 제도적 변화와 전 국민 대상 지진대피 교육훈련 시행 필요성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 및 대상 인원을 확대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Gyeongju Earthquake in 2016 and Pohang Earthquake in 2017 are encouraged people s awareness of earthquakes in South Korea. These two earthquakes caused the change of the Korean s perception that South Korea is no longer safe zone from earthquakes. Since then, there has been a move to remove the incomplete elements of the house on their own in case of emergency, and the importance of training on earthquakes as a prevention emphasized, and demand for survival kit has been surging.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recognition type what adults who experienced Gyeongju Earthquake, their understanding for earthquakes, and earthquake safety guidelines.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Q methodolog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recognition. Type 1 is a “building safety oriented type” and this type recognizes the significance of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Type 2 recognizes that earthquake safety guidelines is important for protecting their body and life. This research result suggests that need to perform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and education to the whole na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of building safet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an earthquak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혜란(Ha, Hye Ran). (2020).경주지진을 경험한 성인의 생존위험 인식 유형 연구. 국가위기관리학회보, 9 (1), 1-13

MLA

하혜란(Ha, Hye Ran). "경주지진을 경험한 성인의 생존위험 인식 유형 연구." 국가위기관리학회보, 9.1(2020):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