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ockfall Risk Analysis Based on Precise Topography using UAV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재희(Choi, Jaehee) 김남균(Kim, Namgyun) 최봉진(Choe, Bongjin) 전병희(Jun, Byonghe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4호, 63~7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로에 인접한 절개지 사면에서 RocFal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석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은 강원도삼척시 소재 대학의 통학로로 이용되는 도로에 인접한 사면으로, 면적은 774 ㎡, 평균 경사는 약 43°인 급경사로 사면하부에는피암터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역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을 이용하여 3D 포인트 클라우드를기반으로 3차원 지형자료를 생성하였다. UAV 이용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정사영상과 고해상도 수치표고모델(Digital Surface Model, DSM)을 생산하고, 이 자료들은 낙석지역의 위험성 평가에 이용되었다. 기존의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생성된 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한 지형추출에 비해 UAV를 이용한 지형추출은 낙석의 도약높이, 운동에너지 해석에서 보다현장의 실제 상황에 가까운 결과를 도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산지의 낙석위험성 평가에 UAV를 활용한 3차원 지형자료구축의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isk of rockfall on incision slopes adjacent to roads was evaluated using the RocFall program. The study area was a slope adjacent to the road leading to a university campus in Samcheok-si, Gangwon-do, with an area of 774 m2 and an average slope of approximately 43°. A rock shed was installed at the lower zone of the slope. A 3D model of the terrain was generated based on point cloud data gathered using a UAV (unmanned aerial vehicle). Fast and accurate orthoimages were captured by UAV and high-resolution digital surface models (DSMs) were produced; these data were used to assess the risk of rockfall. Compared to terrain extraction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nerated from an existing digital map, terrain extraction using a UAV was more effective in deriving results close to the actual situation in the field, especially for the analysis of rockfall jump height and kinetic energy.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3D topographic data using UAVs to predict rockfall disasters in mountainous regions was confirmed.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사질토 물성에 따른무리말뚝 p-y 곡선과 p-multiplier 평가
- 일체식 철도 교대 개발을 위한 수동 지반반력계수 평가
- 도심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하수관 부분 보수 공법 개발
- 유변물성에 따른 토석류 거동 특성 연구
- 도심지 내 가스충전소 폭발사고에 의한 피해 영향에 대한 연구
- 원전 구조물의 바닥 마감재료와 도장재료의 연소성능평가 연구
- 단지 조성을 위한 과압밀점토의 설계침하량에 대한 고찰
- 신형상 아연도강판 영구거푸집 보의 전단성능평가
- 전통시장의 화재 위험도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우각부 모멘트 분석을 통한 개방형 벽체를 갖는 라멘교의최적 개방률 산정
- 탄소섬유 시트 및 노 슬럼프 콘크리트로 보강한 콘크리트보의 구조성능 평가
-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전산 서버실 가스계 소화설비의 경보음 전달 특성
- 공동주택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인적 특성에 대한 연구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미래 대설취약성 분석
- 알긴산 나트륨을 보강한 지반의 함수특성을 고려한 저수지 사면안정성 평가
- 침수지역 내 노인 인구의 취약성에 관한 사례연구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지구단위계획 및 주상복합대지에서의 LID 기법 적용
-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운영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 한국의 광역소방응원체계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자연재난 하에서의 구호 물류 거점 계획 연구
- 방화댐퍼 성능인정제도 도입과 관련한 기존 방화댐퍼의성능에 관한 연구
- 비선형 페리그린 모델을 이용한 이동형 소방용수 저장탱크수직 벽면에서의 동유체력 수치 계산 연구
- 국내 강수 자료에 대한 시공간적 변동 특성 평가
- 반복직접단순전단시험을 이용한 모래의 액상화 저항 특성 고찰
- 폭발하중에 의한 편개형 방폭문의 파괴거동 분석
- UAV를 활용한 정밀지형기반의 낙석위험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