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now Vulnerability Analysis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하준혁(Ha, Joonhyeok) 박희성(Park, Heeseong) 정건희(Chung, Gunhui)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4호, 251~25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전기(2011~2040), 중기(2041~2070), 후기(2071~2100)로 구간을 나누어 미래의 대설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성 분석을 위해 400년 제어 적분한 RCP 2.6, 4.5, 6.0, 8.5 시나리오 기반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74개 기상관측소 자료를사용하였으며 관측소가 없는 지역의 경우 Thiessen 면적법을 이용하여 값을 적용하였다. PSR 구조체계로 세부지표를 분류하였고엔트로피 가중치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취약성 분석을 위한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미래의 대설 취약성 분석이기 때문에 세부지표선정에 있어서 사회 및 경제적 요소를 포함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되어 예측된 기상자료와 인구추이만을 이용하여 세부지표를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각 구간 및 시나리오별 대설에 취약한 순위를 도출해낼 수 있었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장기적으로대설취약성이 감소하지만, 세종특별자치시와 서해안을 중심으로 인구증가 및 적설심 증가로 인한 취약성 증가도 예측할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대설 방재사업을 실시할 경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Snow vulnerability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400 years of controlled RCP 2.6, 4.5, 6.0, and 8.5 scenarios in the following divided periods: the former period (2011-2040), middle period (2041-2070), and later period (2071-2100). Data from a total of 74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used and the Thiessen polygon method was applied in the areas without stations. The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e Pressure-State-Response (PSR) structure, and the weight for vulnerability analysis was calculated using the entropy method. As snow vulnerability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the future scenarios,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s indicators; thus, only predicted weather data and population trends were considered. As a result, the rankings for snow vulnerable areas were determined for each period and scenario. Overall, snow vulnerability would decrease due to the decrease in long-term heavy snowfall in climate change scenarios. However, increased snow vulnerability is also expected in Sejong-si and the western coastal area due to a rise in population and snow depth in the future. Based on this,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he future could be implemented.
목차
1. 서 론
2. 분석방법
3. 분석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사질토 물성에 따른무리말뚝 p-y 곡선과 p-multiplier 평가
- 일체식 철도 교대 개발을 위한 수동 지반반력계수 평가
- 도심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하수관 부분 보수 공법 개발
- 유변물성에 따른 토석류 거동 특성 연구
- 도심지 내 가스충전소 폭발사고에 의한 피해 영향에 대한 연구
- 원전 구조물의 바닥 마감재료와 도장재료의 연소성능평가 연구
- 단지 조성을 위한 과압밀점토의 설계침하량에 대한 고찰
- 신형상 아연도강판 영구거푸집 보의 전단성능평가
- 전통시장의 화재 위험도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우각부 모멘트 분석을 통한 개방형 벽체를 갖는 라멘교의최적 개방률 산정
- 탄소섬유 시트 및 노 슬럼프 콘크리트로 보강한 콘크리트보의 구조성능 평가
-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전산 서버실 가스계 소화설비의 경보음 전달 특성
- 공동주택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인적 특성에 대한 연구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미래 대설취약성 분석
- 알긴산 나트륨을 보강한 지반의 함수특성을 고려한 저수지 사면안정성 평가
- 침수지역 내 노인 인구의 취약성에 관한 사례연구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지구단위계획 및 주상복합대지에서의 LID 기법 적용
-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운영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 한국의 광역소방응원체계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자연재난 하에서의 구호 물류 거점 계획 연구
- 방화댐퍼 성능인정제도 도입과 관련한 기존 방화댐퍼의성능에 관한 연구
- 비선형 페리그린 모델을 이용한 이동형 소방용수 저장탱크수직 벽면에서의 동유체력 수치 계산 연구
- 국내 강수 자료에 대한 시공간적 변동 특성 평가
- 반복직접단순전단시험을 이용한 모래의 액상화 저항 특성 고찰
- 폭발하중에 의한 편개형 방폭문의 파괴거동 분석
- UAV를 활용한 정밀지형기반의 낙석위험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