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ourth Servant Song in the Targum: Its Translation and Atonement Theology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오성호(Abraham Sung-Ho Oh)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52권, 9~63쪽, 전체 5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9,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탈굼 제4 종의 노래(사 52:13-53:12)가 번역인지의 문제와 그 안에 담겨 있는 메시아의 개념과 속죄 신학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탈굼의 번역 원칙은 무제한의 자유를 허용하는 방식을 의미하므로, 탈굼 제4 종의 노래는 번역이라기보다는 유대교 신학적 관점에서의 신학적 주해 혹은 미드라쉬적인 신학적 논평이다. 탈굼 제4 종의 노래의 사상은 히브리 본문과는 많이 달라진다. 종은 메시아로 이해되지만, 승리적인 왕으로서 열방을 축출하고 벌하며 이스라엘을 회복한다. 그러나 종의 고난과 죽음을 통한 대리속죄적인 개념은 탈굼에서는 완전히 제거된다. 탈굼 제4 종의 노래에서의 메시아는 중보기도자이며, 성전 건축자이며, 율법교사이며, 아울러 (대)제사장이다. 모세(와 같은 메시아)의 기도로, 일반 속죄 희생제사 및 속죄일 의식에서의 (대)제사장의 사역으로, 그리고 성전 건축과 율법 교육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열방의 희생에 의하여 이스라엘은 죄 용서함을 받는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urth Servant Song (Isaiah 52:13-53:12; FSS hereafter): whether it is a translation and what is its atonement theology. The translation principle of the Targum is arbitrary and allows an unlimited freedom to select words, so the FSS of the Targum is not a translation and rather a theological exegesis from the perspective of Jewish theology or a collection of midrashic theological comments. Theology of the Targum FSS becomes very different from the Hebrew Text. The Servant is understood as the Messiah in the Targum FSS, but he is a triumphant King who expels and punishes the nations and restores Israel. But the suffering and death of the Servant is completely removed in the Targum. The Messiah in the Targum FSS is an intercessor, a Temple-builder, a Law teacher, and the (High) Priest. Israel receives sin forgiveness by the intercession of (the Messiah like) Moses, the ministry of the (High) Priest in general (forgiving) sacrifices and the Day of Atonement ceremonial, Temple-building, Law teaching, and, finally, the sacrifice of the rulers of kingdoms.
목차
1 서론: 연구의 역사와 문제 제기
2 탈굼 본문의 신학적 주해와 탈굼 번역의 성격
3 탈굼 제4 종의 노래의 메시아 개념과 속죄신학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a Christian view of People and Land in Multi-cultural Society
- 개혁신학이 추구한 ‘보이는’ 보편교회에 대한 일고찰
- 어린이 세례 시행에 대한 소고
- 자연과학에 대한 루터와 칼빈의 견해
- THE BOOK OF JUBILEES AND HEB 9:23 IN CONTEXT
-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
- 인류학적인 차원에서 바라본, καινη κτισιζ(갈 6:15)에 대한 또 다른 이해
- [권두언] 재난과 종말신앙
- 성부와 성자의 영이신 성령과 신격화
- 종말론적 관점으로 본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남자와 여자
- Jesus, the Divine Provider and Host of Messianic Banquet: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Feeding Five Thousand in John 6:1-14 as Indicating the Multiple Identities of Jesus
- 로버트 모리슨의 선교사역에 대한 평가와 중국선교의 과제
- 탈굼 제4 종의 노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생성형 AI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교사 역할의 재정립
- AI 시대, 대학생의 인성교육 현황과 시사점: 2개 대학의 인성교육 사례 분석
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