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ormation and Resolu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s Divorce Crisis: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of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최미란(Choi, Mi Ra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2집 2호, 209~258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 집단상담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의 이혼위기감 형성 및 해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부관계와 이혼, 중년기 여성의 이혼위기감, 이혼위기감의 해소 노 력과 부부 집단상담에 관한 이론들을 제시하고 분석과제들을 설정했다. 총 10명의 참여자를 선 정하여, 1:1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reswell(2013) 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절차에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 석’을 시도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삶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중년기 여성의 이혼위기감 형성 및 해소 경험의 과정을 드러냈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이혼위기감 형성 과정, 이혼위기감 해소 과정, 새로운 부부관계 창조의 3단계로 분석하였다. 이혼위기감 형성 과정에서는 ‘남편 증오심 고착의 내면세계’, ‘이혼 결심의 구성’, ‘이혼 불안의 이유’, ‘남편 증오를 유발하는 언행’과 이혼 위기감 해소 과정에서는 ‘관계 개선을 위한 개인적 노력’, ‘부부 집단상담을 통한 관계 개선의 노 력과 그 결과’, ‘타인 경험의 인지를 통한 남편의 성찰’ 그리고 새로운 부부관계 창조에서는 ‘유 연한 인식’과 ‘변화된 남편’을 통합주제로 추출하였다. 연구자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 로 이혼위기 관리 시스템 구축, 부부 집단상담제도 활성화와 위기 해소 후 부부관계 지속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실천 및 정책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ormation and resolution of middle-aged women’s divorce crisi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This study presented theories about couple relation and divorce, divorce crisis of middle-aged women, efforts to resolve the divorce crisis and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and set analysis clues according to research objective. A total of ten middle-aged wome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dopted a case study approach suggested by Creswell(2013) to resolve the clue of the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in-case analysis’ and ‘case by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procedure. In-case analysis revealed formation and resolution experience process of the middle-aged women’s divorce crisis in the overall context of life. Case by case analysis extracted three stage of formation of divorce crisis, resolution of divorce crisis and creation of new marital relations. The stage of formation of divorce crisis integrated themes including ‘inner world of hatred fixation towards their husbands’, ‘composition of divorce decision’, ‘reason of divorce anxiety’, ‘problem behavior of their husbands that cause hatred’. The stage of resolution of divorce crisis integrated themes including ‘personal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result of efforts for conjugal relations improvement through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husband’s introspection through recognition of other experience’. The stage of creation of new marital relations integrated themes including ‘flexible perception’, ‘altered husb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researcher presented the need of establishment of divorce crisis management system, activation of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and development of program for continuing marital relations after resolving the crisis as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