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L-26(M) 등부표의 해역별 동적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Sea Areas Dynamic Stability of LL-26(M) Light Buoy
발행기관
한국항해항만학회
저자명
문범식(Beom-Sik Moon) 국승기(Seung-Gi Gug) 김태균(Tae-Go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4권 제3호, 166~173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해양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항로표지사고는 통항선박의 항행위험을 초래하고, 항로표지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해상에 가장 많이 설치·운영되고 있는 등부표는 바람, 조류, 파도 등 해양기상의 영향으로 인한 사고율이 가장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 등부표 설치해역별 해양기상조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등부표의 동적안정성 계산에 있어 전 해역에 일류적인 극한조건만을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등부표 중 해상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LL-26(M) 등부표의 동적안정성을 분석하여, LL-26(M) 등부표의 안정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등부표와 관련한 선행연구의 해역별 기상을 분석한 후, 해양기상에 의한 사고발생 횟수가 많은 해역별 대표 등부표에 적용하여 동적안정성(경사각)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각 해역별 LL-26(M) 등부표의 경사각은 상이하였다. 즉, 바람에 의한 경사각은 10.329°~ 36.868°이고, 조류에 의한 경사각은 0.123°~18.834°이며, 파도에 의한 경사각은 4.777°~20.695°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LL-26(M) 등부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해역별 설치기준 마련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toN Accident causes navigation dangerous to ships and reduces the credibility of aids to navigation. The most light buoys on the sea have the highest accident rate from the influence of sea weather such as wind, current, and waves. However, in Korea, despite the different sea weather conditions in each sea area, in calculating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light buoy,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limit value conditions are applied to all sea area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LL-26(M) light buoy, the most installed buoy of its kind on the sea and suggest a stable operation plan for the LL-26(M) light buoy. To achieve this, after analyzing the weather for each sea area of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the light buoy, the dynamic stability (inclination angle) was estimated by applying to the representative light buoys of each sea area wherein the number of accidents caused by sea weather was high.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clination angle of LL-26(M) light buoy for each sea area was different.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caused by winds was 10.329°-36.868°, the inclination angle caused by currents was 0.123°-18.834° and the inclination angle caused by waves was 4.777°-20.695°. The results of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useful for installation standards for each sea area for stable operation of the LL-26(M) light buoy.

목차

1. 서 론
2. 해양기상 분석
3. 등부표의 설치기준 및 사고 분석
4. 해역별 등부표의 동적안정성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범식(Beom-Sik Moon),국승기(Seung-Gi Gug),김태균(Tae-Goun Kim). (2020).LL-26(M) 등부표의 해역별 동적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4 (3), 166-173

MLA

문범식(Beom-Sik Moon),국승기(Seung-Gi Gug),김태균(Tae-Goun Kim). "LL-26(M) 등부표의 해역별 동적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4.3(2020): 166-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