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목본식물 11종의 미세먼지 제거능
이용수 106
- 영문명
- Potential of Eleven Woody Plant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권계정(Kei Jung Kwon) Odsuren Uuriintuya 김상용(Sang Yong Kim) 양종철(Jong Cheol Yang) 박봉주(Bong Ju Park)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2020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9~29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26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목본식물 11종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 검증 및 우수종 선발을 위해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는 다래(Actinidia arguta),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 돈나무(Pittosporum tobira), 다정큼나무(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종려나무(Rhapis), 무늬개키버들(Salix integra Hakuro Nishiki ), 버드나무(Salix koreensi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아왜나무(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머루(Vitis coignetiae)를 사용하였다. LED 패널 광원을 설치한 800(D) × 800(W) × 1000(H)mm 크기의 아크릴 챔버에 직경15cm 플라스틱 화분 6개씩을 배치하고, 미세먼지측정기(Aerocet 531S, Met One Instruments, Inc., USA)을 이용하여 PM10, PM2.5, PM1을 측정하였다. 미세먼지 주입 후 300분 동안의 미세먼지 저감을 자동 측정하였으며, 각 식물 당 6회 이상 반복실험을 하였다. 미세먼지원은 모기향(에프킬라, SC Johnson, Korea)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초기 주입 농도를 100%로 하였을 때, 실험 종료 시 PM10의 농도는 식물을 넣지 않은 대조구가 15.6%로 가장 높았던 반면 아왜나무(5.6%), 다래(6.3%), 머루(7.9%)로 낮았으며, PM2.5의 농도는 대조구가 16.4%로 가장 높았던 반면 아왜나무(6.3%), 다래(7.3%), 머루(8.8%)로 낮았고, PM1의 농도는 대조구가 52.2%로 가장 높았던 반면 아왜나무(21.0%), 다래(27.0%), 머루(28.8%)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아왜나무, 다래, 머루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식물종으로 잠재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위험직무군 소방공무원의 식물 및 색채선호도 경향
- 방음시설 설치 실태조사에 의한 방음벽 추가설치 요인 분석
- 계절별 재배환경에 따른 스프레이 절화 장미 ‘Egg tart’의 절화수명 및 화색 분석
-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생태면적률 적용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딸기 재배 토양 토성에 따른 토양수분센서 보정식 비교
- 식재지반 구성이 아파트 정원용 관목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시설 내 계절별 재배환경에 따른 스탠다드 절화 장미 ‘3D’의 품질 분석
- 시설 내 Green LED광에서 일장조건에 따른 튤립 ‘Strong Gold’ 의 절화 품질과 수명
- 학교텃밭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목본식물 11종의 미세먼지 제거능
- 신혼희망타운 내 행복주택의 적정크기에 대한 연구
- 상전이의 원리에 입각한 3기 신도시 사업조직내 변화의 창출과 성공적 확산을 위한 핵심역량과 개선방안 연구
- 신도시 상업시설 실태조사를 통해 상가공실률 상승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 고위험직무군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소명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허브식물의 GLV 처리에 따른 해충 기피 성분 변화량 분석
- 도시계획시설 결정을 통한 영구저류지 상부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동반식물 특성에 따른 유형별 작물 분류
- 낙엽활엽수와 상록침엽수의 계절별 미세먼지 저감능 비교
- 고가도로 하부 식재 식물의 미세먼지 축적과 잎 특성과의 상관관계
- 도시건축통합계획 공공주택지구의 계획수립과정 및 디자인 조정체계 분석연구
- 미래농업 체험을 위한 학교밖 STEAM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낙엽활엽수 10종의 계절별 미세먼지 저감 비교
- 초본식물 18종의 미세먼지 제거능
- 아동 대상자 관련 원예활동 연구동향 분석
- 인간식물환경학회 2020년 춘계학술대회 인사말
- 수목원ㆍ식물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내 멸종위기종 및 희귀ㆍ특산식물 교육 프로그램 현황 조사
- 인간식물환경학회 2020년 춘계학술대회 일정 및 목차
-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치유정원 경관감상이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본 성인 대상 ‘국립수목원 식물교실’ 프로그램의 운영과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BEST
- 낙상사고를 경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심리적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영유아교육실천연구 제3권 제1호 목차
-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연구
-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 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