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 Intercultural Pragmatic Study of Speech Act of Correction in Korean EFL Context
이용수 9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Sujung Mi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26권 제2호, 23~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aking an intercultural pragmatic approach, the present study compared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L2 learners performance of the speech act of correction and how it is realized with status unequals. The difference in status here is not necessarily socio-economic, but rather a matter of the power structure within the classroom context. By focusing on correction, this study looked at situations where one person knows the other has had a factual errors. Th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pragmatic transfer from Korean (L1) among L2 learners of English in the strategies used to realize the speech act of correction. The correction speech act classified as an expressive is one of face-threatening speech acts and therefore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ir potential for causing cross-cultural miscommunicat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2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10 native English speakers. The data consisted of responses to four items of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 per participant to elicit the speech act of correction. All the responses were analyzed as consisting of a sequence of semantic formulas (Cohen & Olshtain, 1981). Findings indicated the cultural background and L1 effects on the use of correction strategies.
목차
I. INTRODUCTION
II. SPEECH ACTS
III. SPEECH ACT OF CORRECTION
III. METHODS
IV. RESULTS
V. DISCU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크립트 기반 초등 영어 언어·문화 통합 수업 평가 도구 개발
- The Us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in Secondary School Contexts
- An Intercultural Pragmatic Study of Speech Act of Correction in Korean EFL Context
- 지방사립대 영어영문학과 재학생들의 토익 성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의 중등 영어수업의 질에 대한 인식
- 국내 영어교육에서 English Literacy관련 연구동향 분석
- 초등 예비 교사들의 영어 모의수업에서 의사 결정 연구
- Google Classroom 기반 디지털 수업이 중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