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Intertemporal Choice and Smartphone Use in Nursing Student in 20s
- 발행기관
- 한국중독정신의학회
- 저자명
- 최지훈(Ji-Hoon Choi) 정성원(Sung-won Jung) 김양태(Yang-Tae Kim)
- 간행물 정보
- 『중독정신의학』Vol.24, No.1, 29~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martphone use among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intertemporal choice, and other psychological status. Methods : Ninety six nursing students were subjected to the following tests: th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KSAPS), the Delay Discounting Task (DDT), the Big Five Inventory- K-10 (BFI-K-10), the Korean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Results : Among the nursing students, smartphone daily use duration and DDT negatively correlated, and extraversion scor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daily use dura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30 days, 180 days, and 365 days indifferent points. Smartphone daily use duration and KSAP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nscientiousn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impulsivity, and STAI scores. Depression was also positive associated with neuroticism, impulsivity, and STAI score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the selection of intertemporal choice, the difference of negative emotions and personality traits in the nursing students group was related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gh risk groups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developing effective coping and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