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ackground and Justification of the Inclusion of the Gaming Disorder in the 11th Edit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1)
- 발행기관
- 한국중독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해국(Hae Kook Lee)
- 간행물 정보
- 『중독정신의학』Vol.24, No.1, 3~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fter reporting extreme cases, such as sudden death related to excessive use of games, reports of addictive use of gam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have been accumulat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nducted a public health response to health problems related to excessive use of digital devices and, as a result, “gaming disorder” has been included as an addictive disorder in the 11th edit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to be applied from 2022. The disease classification of the gaming disorder means that the world must monitor, prevent, and treat the health problems related to the addictive use of games in a standardized manner. These decisions are based on sufficient scientific and clinical grounds for conceptualizing the addictive use of games, and the proposed diagnostic guidelines are also key criteria covering substance and behavioral addiction. Despite controversy regarding detailed diagnosis criteria, widespread consensus exists on the public health-related harm associated with the addictive use of games. Thus, the practical discussions are needed to effectively apply the WHO’s decision regarding the country rather than the consumptive controversy.
목차
서 론
디지털기기 사용 관련 중독 건강폐해에 대한 세계보건기구의 대응
게임사용장애의 질병개념
게임과몰입이 “게임사용장애”라는 중독성 장애로 질병개념화될 수 있는가?
장기추적연구를 통해 보고되는 게임중독 진단의 지속성과 안정성
게임사용장애에서 신경생물학적 이상
게임사용장애 진단기준의 타당성
게임사용장애 질병코드 등재에 대한 학계의 논쟁과 시사점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취업불안이 청년 구직자 및 이직자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