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프레젠테이션 능력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9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Feasibility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resentation Ability Diagnosis Tool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주(Lee, Yoenjoo) 임경수(Lim, Kyoungso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4권 제2호, 265~27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레젠테이션 능력 진단을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평가도구개발을 위해 프레젠테이션 능력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전문가 협의를 통해 ‘내용구성’, ‘표현전달’, ‘시청각요소’를 구성요소로 가정하고 각 요소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예비진단도구를 구성하였다.
사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레젠테이션 능력은 ‘표현전달’과 ‘시청각요소’ 의 2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문헌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내용구성’요소가 ‘표현전달’ 요소의 하위로 포함되며, 발표관련 교과운영시 ‘표현전달’과 ‘시청각요소’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시사한다. 또한 프레젠테이션 능력에서 시청각요소가 표현 전달력만큼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발표관련 교과의 교수내용과 구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데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ssessment tools for diagnosing presentation ability. Preliminary diagnostic tools were constructed by assuming content configuration , expression delivery , and audio-visual elements as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after consultation with a professor in charge of the curriculum. The analysis of factors through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confirmed that presentation capability consists of two elements: expression delivery and audio-visual elements .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ent configuration component shown in the literature study results are included as sub-components of expression delivery . It also suggests that during the presentation-related curriculum operation, the importance of expression delivery and audio-visual elements needs to be increased. We also discovered that audio visual elements are as important as expressive capabilities in presentation capabilities.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uggest that changes are needed in the training and composition of future presenta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졸업생의 수강 자료를 활용한 전공 및 교양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분석
- 베트남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외국인 학생을 위한 글쓰기 클리닉 운영 성과와 과제
- 일반생물학 수업을 위한 『종의 기원』 탄생에 대한 연구
- 소그룹 협력쓰기와 과정중심 피드백을 통한 교양영어 쓰기수업 방안 연구
- 팀워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의 프레젠테이션 능력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FonF와 PBL의 절충적 문법 수업 사례 연구
- 협동 글쓰기 활동이 EFL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
- 엔그램 뷰어를 활용한 교양교육 개념 분석
- 대학 교양교육의 심화발전 방안에 대한 재고(再考)
- 인문교양교육의 서구적 전통과 변용
- 미국 중등교육에 나타난 사회적 시민성(social citizenship)의 특성
- 머신러닝을 활용한 인성교육 평가방안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 iClass에 기반한 [인성] 교양강좌 콘텐츠 구성과 효과
- 대학생의 시 교양 교육과 효율적인 학습전략의 모색
- ‘고(高)-대(大) 접속’과 복합적 전이
- 대학에서 학생 선수로 살아가기
- 인문교양교육과 포스트휴먼 인문과학
-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향상 학업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