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중문화로서 뮤지컬 <파리넬리>의 상품화 전략

이용수  107

영문명
The Strategy for Commercialization of Musical Farinelli as Popular Culture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송영민(Young-Min Song) 강준수(Jun-Soo Kang)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7호, 2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1세기의 대중은 미디어와 인터넷과 같은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다양한 공연예술을 즐기는데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문화를 효과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뮤지컬인 <파리넬리>가 대중문화상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어떻게 상품적 가치를 증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크로스 섹슈얼 트랜드는 <파리넬리>에서 다채로운 악세서리, 헤어 스타일, 그리고 여성복의 형태로 재현된 21세기 문화코드 양식으로서 상징화되었다. ‘크로스 섹슈얼’ 트랜드라고 하는 새로운 패션 트랜드는 이성에 대한 정신적 결합이다. 삶의 변화로 인해서, 공연예술은 시대적 요구의 변화로 인해서 시대를 대변하는 문화코드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특히, <파리넬리>와 같은 뮤지컬은 공연예술시장에서 인기 있는 문화상품으로 성장해왔다. 이러한 공연예술은 지역 사회와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의 형태로 영향을 끼쳐왔다. 다시 말해서, 많은 관객은 그러한 공연예술 상품들을 통해서 자신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기본적으로 공연예술 소비자는 공연예술 작품 속에서 스트레스 해소, 삶의 질 향상, 그리고 유흥적인 요소들을 기대한다. 최근에, 공연예술은 콘텐츠에 있어서 문화 아이콘만을 재현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중소비 상품으로서 인간의 정서에도 영향을 끼친다. <파리넬리>와 같은 공연예술은 해학성, 감상성, 선정성, 관능성, 그리고 환상성과 같은 대중적 요소들이 가미된 대중성을 갖추어야 한다. 공연예술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새로운 첨단기술이 가미된 미디어와 더불어 대중적 삶의 방식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파리넬리>는 정서적이고 문화적인 욕구뿐만 아니라 관객의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자극시킴으로써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으며, 이것이 이 공연예술 작품이 지니고 있는 상품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blic can spend more time in enjoying the various performing arts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s and information technology like internet in the 21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performing arts like musical Farinelli that represent popular culture effectively play an important role with increasing commercial value in the process of creation of the mass culture products. For example, the cross sexual trend is symbolized as the culture code of 21st century which is represented as the form of colorful accessories, hair style, and female costume in Farinelli. This new fashion trend, ‘cross sexual’ is the spiritual combination of opposite sex. Due to the change of living, the performing arts have begun to make culture code which speaks for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demands of our times. Particularly, musical like Farinelli have grown as the popular cultural products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These performing arts have influenced on regional society and economy as the form of positive effect. In other words, many audiences can be satisfied with their cultural needs through them. Basically, the consumers of performing arts expect their relief of stress, the improvement of quality in their life and the elements of entertainment in performing arts. These days, the performing arts do not only represent a cultural icon in the contents but also affect human emotions as the mass consumer products. Performing arts like Farinelli are needed to have the popularity with the popular elements like the comic, the sentimental, the sensational, the sensual, and the fantastic. The role of performing arts get more important because they contain popular life styles for the masses with new technical media. In conclusion, Farinelli makes audiences immersed in the performing art by stimulating them with the sensitivity, and this is the reason why it can fulfill commercial value as well as an emotional and cultural demand.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연구방법
3. 뮤지컬의 대중성
4. <파리넬리>의 상품적 가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영민(Young-Min Song),강준수(Jun-Soo Kang). (2017).대중문화로서 뮤지컬 <파리넬리>의 상품화 전략. 글로벌문화콘텐츠, (27), 21-43

MLA

송영민(Young-Min Song),강준수(Jun-Soo Kang). "대중문화로서 뮤지컬 <파리넬리>의 상품화 전략." 글로벌문화콘텐츠, .27(2017): 2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