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치즈인더트랩>을 통해 본 웹툰의 매체변환에 대한 이용자 반응 연구

이용수  261

영문명
User’s Response on Media Conversion from Webtoon to TV Series: A Study of Cheese in the Trap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이현정(Hyunjung Rhee)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7호, 83~10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디어의 다양성과 문화콘텐츠 시장의 치열한 경쟁구도로 인해 매체변환 콘텐츠 제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작된 다수의 매체변환 콘텐츠들은 원작의 명성에 비해 관객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데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매체변환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웹툰의 매체변환 콘텐츠인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의 사례를 시청자 반응과 함께 살펴보았다.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은 16화에 걸친 방영기간동안 시청자들의 긍정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은 작품으로,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공적 매체변환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해당 콘텐츠의 매체변환에 대한 방식을 알아보는 것이고, 둘째는 이용자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며, 셋째는 이 두 결과를 비교하여 2차 콘텐츠의 성공적 제작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채트먼의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치즈인더트랩> 원작과 2차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 전달방식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드라마 각 화에 대한 시청률과 이용자들의 댓글반응분석을 통해 드라마의 매 회차의 콘텐츠의 매체변환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은 초반부터 중반에 이르기까지 호평이 대부분이었으나, 후반으로 가면서 시청자의 반응이 다수 부정적으로 변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이유를 초반 드라마로의 매체변환으로서 가졌던 서사흐름을 일관되게 유지하지 못한 점에서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매체변환 콘텐츠 관련 연구들이 서사구조 분석에 그쳤던 것에서 나아가 시청자들의 반응을 살핌으로서 매체변환을 통한 콘텐츠의 시장성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후 연구에서는 매체 전달기술 및 유통방식 등까지 고려하여 보다 다양한 차원에서 성공적 매체변환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Continuing evolution of digital media and expanding commercial content market are driving an increased interest in media conversion. In particular in Korea webtoon has emerged as a narrative source. However, most spin-offs of webtoon hardly get good reviews, because they have fail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users. Thus in this paper, we attempt an analysis of a spin-off case in order to find suggestive implications for media conversion. We chose Cheese in the Trap for the study, because its evaluation has changed from mostly positive to mostly negative during the series were seen on TV for 8 weeks.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about media conversion only dealing with structural analysis, this study gauge the audiences’ reactions toward the structural change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issues: how the TV series adapted the narratives of the webtoon Cheese in the Trap; how users’ attitude changes from the TV show start to end; and what are core elements for successful media conversion. To solve the issues, we compared the original story and the adapted version to find the difference in a way to deliver context using Chatman’s narrative theories. Then we evaluate the feasibility of story adaptation according to viewers’ responses of the TV show in each episode.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정(Hyunjung Rhee). (2017).<치즈인더트랩>을 통해 본 웹툰의 매체변환에 대한 이용자 반응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7), 83-103

MLA

이현정(Hyunjung Rhee). "<치즈인더트랩>을 통해 본 웹툰의 매체변환에 대한 이용자 반응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7(2017): 83-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