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유의 음악에서 접속의 음악으로

이용수  354

영문명
From the Music of Ownership to the Music of Access: Transformation of K-Pop Standard in Online Digital Music Market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이도엽(Do-Yup Lee) 양은영(Eun-Young Yang)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7호, 63~8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미디어 기술은 수세기 동안 대중음악산업의 창작과 수용에 가장 중요한 매개 (mediation)였다. Radio, TV 등 사운드와 이미지의 새로운 매개의 등장은 대중음악의 히트 공식에 맞춘 스탠더드(standard)의 변형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2010년 이후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자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이동통신사가 온라인 음악시장에서 대중음악산업의 매개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대중음악산업 가치사슬 내 생산, 유통, 판매 기업이 대기업 중심으로 수직계열화되었으며, 음원 수익 역시 이동통신사에 가장 많이 분배되었다. 음원차트 상위 곡에 소비가 집중적으로 쏠리는 현상도 점차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사가 매개로 영향력을 행사한 이후 국내 대중음악 스탠더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무료 음원 다운로드 시대 (2001~2003)의 가온차트 상위 50위 대중가요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대 (2012~2014)의 멜론 연간 음원차트 50위 대중가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댄스와 발라드 장르 모두 공통적으로 곡의 길이가 짧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댄스장르에서는 ‘코러스(chorus)’가 곡의 맨 처음에 등장하는 형식을 가진 곡의 수가 증가하였다. 발라드 장르에서는 짧은 반복구를 가진‘코러스’를 곡의 앞 쪽으로 전진 배치한 곡의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이동통신기술의 발달 덕택에 소비자들은 더 이상 음악을 소유할 필요 없이 스트리밍 음원서비스에 접속해서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음원 사이트에 종속된 소비자들은 짧고 반복적이고 단순한 획일화된 접속의 음악에 길들여지고 있다.

영문 초록

For centuries communication processes and media technology have played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value chain of popular music. A new mediation of sound and image emerges such as radio and TV, the standard of pop music has changed to attract the people. With the proliferation of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s,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wield strong influential power over Korean popular music industry.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companies have become vertically integrated, and consumption trends have become more prominently centered on the few most popular songs. Changes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have had an effect on what is deemed as the ‘standard’ of popular songs. A comparative analysis of popular songs ranked on the annual top 50 chart in free download service period (2001 ~ 2003) and in music streaming service period (2012 ~ 2014) have shown the following results. Overall, the length of each song has been generally shortened. In the dance genre, the number of songs in which the ‘chorus’ appeared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piece has increased. In the ballad genre, the ‘chorus’ which has short repetitive phrases have moved forward. In order to survive in the Korean popular music market in the age of access, Korean popular songs have also evolved to be short and repetitive.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맺음말 및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도엽(Do-Yup Lee),양은영(Eun-Young Yang). (2017).소유의 음악에서 접속의 음악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27), 63-81

MLA

이도엽(Do-Yup Lee),양은영(Eun-Young Yang). "소유의 음악에서 접속의 음악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27(2017): 6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