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구의 주택구입시점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167
- 영문명
- An Analysis of Consumers’ Sentiments about the House Buying Time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문지희(Moon, Ji Hee) 정의철(Chung, Eui Chul)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0권 제1호, 53~6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주택구입시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국토연구원의 소비자 심리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주택구입 적정시점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주택구입자금조달조건, 소득대비 주택매매가격 비율, 주택매매가격 예상 상승률과의 장·단기 관계를 자기회귀시차 분포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주택매매가격 예상 상승률이 높은 시기일수록 주택을 구입하기 적당한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택구입시점 판단에 자본이득 동기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자의 판단은 주택구입자금 조달 조건과 소비자의 경제적 능력에 의해 제약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구입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거나 가구의 소득에 비해 주택매매가격 수준이 높은 시점에서는 소비자들의 주택 구입 의사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주택구입자금 조달 조건, 소득대비 주택매매가격 비율, 주택가격 예상 상승률이 가구의 주택구입시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장·단기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였으며, 오차수정항의 추정계수 값이 크게 추정된 것을 고려하면 소비자의 주택구입시점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장기균형수준으로 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의 부동산시장 규제완화 정책기조 또한 소비자들의 주택구입 시점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sentiments about the house buying time. Using the KRIHS consumer housing market sentiment survey data,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appropriate house buying time were measured, and the financial cost of house purchase, the price-to-income ratio, and the expected housing price appreciation rate were considered to influence consumers’ sentiments about the house buying time, along with the government housing policy directions.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was used to explore the long-run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the short-run adjustments of the consumers’ sentiments about the house buying time to the changes in the influential variables.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housing price appreciation rate was expected to become higher, more consumers responded by considering it a good time to buy a house. At the time that the financial cost of house purchase and the price-to-income ratio were higher, consumers were less likely to respond by considering it a good time to buy a house. The government’s housing policy directed towards lessening house purchase constraints was also found to be influential. The coefficient of error correction term was estimated to be high, indicating that consumers adjust their sentiments about the house buying time to its long-run level at a fast rat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실증분석모형
Ⅳ. 자료 및 변수
Ⅴ. 추정 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