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사의 착시(Illusion)를 응용한 주얼리 연구
이용수 209
- 영문명
- Study on Jewelry with the Application of Reflective Illusi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상희(Park, Sang-hee)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3집 1권, 269~2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예 장신구는 현대에 이르러 더욱 다원화된 재료를 수용하며 실험적이고 차별적인 가치를 대중과 소통하는 아트 주얼리(artjewelry)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금속의 반사로 일어나는 시각적 착란인 착시를 미적 요소로 응용하는 장신구 연구이다. 재료는 반사를 통해 환영의 상과 융합되어 새로운 이미지로 연출되며, 관객에게는 시각적인 오류를 통해 또 다른 미를 사유하게 하는 유희를 제공한다. 이는 현실의 재현보다 호기심을 유발시켜 더욱 강렬한 흡인력과 강한 인상을 심어주며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반사는 상을 변화시켜 관객의 시선을 유도하며 물리적 행동에 참여를 유도 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관객과 상호 소통을 이뤄가는 기폭제가 되고, 실재와 환영의 조화로운 공존을 통해 재료의 전통적인 재현 방식을 넘어선다. 이를 통해 관객에게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며 아트 주얼리의 점진적인 인식 확산에 기여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진다.
영문 초록
Craft ornaments have emerged as art jewelry communicating experimental and differential value with the public, by incorporating more diversified materials by modern times. This paper is a research on ornaments with the application of illusion, visual distraction caused by the reflection of light from metals, as an aesthetic factor. Materials are fused with some images of visions and produced as new images, and they also provide amusement which allows audiences to think about another beauty through visual errors. They attract strong attention from and give a remarkable impression to audiences by eliciting their curiosity rather than representing reality, and induce their eyes and thereby encourage them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ies, by modifying images reflected, depending on wearers movement. Such factors trigger the interactions with audiences and help go beyond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materials, based on the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This paper thus aims to provide a variety of artistic experiences to audiences and contribute to the gradual extension of recognitions on art jewelry.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이트 미술관의 교육 정책 연구
- 상호관계로서의 무비즘(Mubism) 연구
- 반사의 착시(Illusion)를 응용한 주얼리 연구
- 1980년대 한·중 사회 트라우마의 은유적 활용 비교연구
- 자연 형상의 조형성을 적용한 인그레이빙 패턴 디자인 연구
- 사용자 경험 중심의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전략 분석
- 중국 현대미술에서 도가의 물 사상 표현 연구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컨셔스 패션
- 회화적 관점으로 바라본 코믹스와 망가 연구
- 현대도예의 비소성(非燒成) 표현 양상 연구
- 공간에서의 선(線)의 조형성 연구
- 나미카와 야스유키(並河靖之) 작품연구
- ‘다시 세운’을 통한 공간의 재생산
- 포스트 디지털 매체 시대에서 판화의 동시대성 연구
- 노인주거의 이용자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