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S 과정의 개발과 운영
이용수 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남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11년 춘계국제학술대회 발표집, 139~14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수행인문학부 STS(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전공 과정의 개발과 운영과정에 대한 분석이다. STS 전공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학생들에게 제2전공으로 이수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 수행인문학 융합전공 5개 과정 중 하나이다. 수행인문학 과정은 2005-2009년 사이 교육부의 「수도권 대학특성화 지원사업」에 의해 과정이 개발된 뒤 한양대학교 행정체계 내에 수행인문학부로 독립되어 현재 과정이 운영 중에 있다. 이 중 STS 과정은 과학기술학에 기반을 둔 인문학과 과학기술을 연결하는 복합학 과정이라 할 수 있다. STS 전공 과정의 설립은 전공의 내용과 운영 과정 모두에 있어서 학제적 교육에 대한 새로운 융합적 시도로서 의미가 깊다.
본문에서는 STS 전공의 교육과정 로드맵과 교육 운영 방법에 대해 논하고 개발 과정과 운영 결과의 장단점을 분석해 본다. 융합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재, 이 글은 간 학문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STS 과정이 대학 내 전공과정으로 편입되고 운영되는 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대한민국 대학 체계 내에서 실행가능한 대안적 융합 교육 모델들을 고민해보는 적절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글
2. 수행인문학 융합전공
3. STS(과학기술학) 전공의 교육과정 로드맵
4. STS 전공의 개발과정과 교육운영 현황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연구
- Design of Operation of English Language Skill Improvement Clinic for Honors Program Science Students: a Case Study at Hanyang University
- 교양교과목 가상강좌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증진 전략과 사례
-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 조형예술의 기초교육을 위한 발상
- “분과학문과 교양교육의 불협화, 그 연원과 현실 그리고 전망”
- 소설과 영화를 통한 교양 역사교육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미국대학의 1, 2학년을 위한 학사지도
- 대학생이 피어튜터링에서 체험하는 교육적 난점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Courseware: Malaysia Sexuality Education (Case Study)
- 화이트헤드 철학과 교양교육
- 기초 교육으로서의 교양 체육의 역할
- 교양교육으로서의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 STS 과정의 개발과 운영
- 교양교육으로서의 신화교육의 의미
- 基礎敎育としての敎養體育の役割
- 행복한 미래를 위한 교양교육
- 두 문화와 교양교육
- 基礎敎育としての敎養體育の役割
- 교양교육에서의 〈미학의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