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Courseware: Malaysia Sexuality Education (Case Study)
이용수 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Azizah Jaafar Chan Siew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11년 춘계국제학술대회 발표집, 77~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st of the Malaysians misunderstood about the purpose of sexuality education and thought their religion is conflicting with sexuality education. This situation hampers the effectiveness of sexuality education that is carried out in Malaysia. As a result, a study on the requirements of a new and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learning as well as to disseminating information on the subject to the Malaysians especially to school children was conducted. One of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 highly usable of Malaysia Sexuality Education Courseware (MSE). MSE was developed for the human sexuality topic, which absorbed in form three Science of secondary schools in Malaysia. Discussion started with MSE theoretical framework, which consists of several learning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theories. MSE was developed based on AUSDU model. whereby ADDIE model integrated with usage-centered design and usability concepts.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and learnability constructs had shown that MSE not only improved the students sexuality education performance, but also the interactivity with MSE.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INITIAL STUDY
III. OBJECTIVE
IV. METHODOLOGY
V. RESULTS
VI.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연구
- Design of Operation of English Language Skill Improvement Clinic for Honors Program Science Students: a Case Study at Hanyang University
- 교양교과목 가상강좌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증진 전략과 사례
-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 조형예술의 기초교육을 위한 발상
- “분과학문과 교양교육의 불협화, 그 연원과 현실 그리고 전망”
- 소설과 영화를 통한 교양 역사교육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미국대학의 1, 2학년을 위한 학사지도
- 대학생이 피어튜터링에서 체험하는 교육적 난점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Courseware: Malaysia Sexuality Education (Case Study)
- 화이트헤드 철학과 교양교육
- 기초 교육으로서의 교양 체육의 역할
- 교양교육으로서의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 STS 과정의 개발과 운영
- 교양교육으로서의 신화교육의 의미
- 基礎敎育としての敎養體育の役割
- 행복한 미래를 위한 교양교육
- 두 문화와 교양교육
- 基礎敎育としての敎養體育の役割
- 교양교육에서의 〈미학의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