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이용수  203

영문명
A Liberal Arts Education of Humanities and Reading Discuss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현주(Kim, Hyun-Ju)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5권 제1호, 229~26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부합하는 대학의 인문교양교육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대학은 양적인 팽창, 전문대학원을 거느린 종합대학교 체제로의 변신, 대학의 사회적 역할의 다변화, 슈퍼 자본주의로 인한 대학의 시장 지향, 지식기반의 변화 등으로 교육 목표와 방법에 대단한 혼란을 초래하였다. 최근 국내·외 대학들이 인문교양교육으로서 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하는 것은 대학의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다. 또한 인간과 세계의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역학 관계를 이해하고 그것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 곧 교양 지(知)를 확장시키려는 노력이다. 그런데 국내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정밀한 교육 목표와 교수법을 예비하지 않은 채 의욕을 앞세운 측면이 있고, 서구의 지적 전통을 보편 지(知)로 절대화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보편 지(知)를 상대화시키는 한편 자신의 도덕적 수준을 스스로 고양시키고 창의적 사유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로티의 아이러니를 독서교육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인문교양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대안이기도 하지만,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본 방법이자 정신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ost is to grope the necess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hich corresponds with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21st century and the direction to it. In the meantime, Korean universities have greatly confused the education objective and teaching method in terms of quantitative expansion, transformation to comprehensive university system with graduate school, diversification of social role of university, market orientation of university due to Super capitalism, and change of knowledge. Recent developing and enforcing variety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as liberal arts education are the movement for Korean universities to recover the identity of university. Moreover, universities are trying to expand the knowledge of liberal art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ntrol the complex and multiplex dynamics between the human being and the world. But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conducted by Korean universities did not prepare the accurate education objective and teaching method and is concerned to be absolute the knowledge of western culture as a common knowledge. For the alternatives, relativizing the common knowledge and accepting Rorty’s irony to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one’s moral level and expand the creative thinking skill are required. These are the alternatives to compliment the problem of liberal art education. But these are also the basic method and spiri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grope the way to coexist one another.

목차

Ⅰ. 대학 교양교육과 인문학의 만남
Ⅱ. 독서를 통한 인문교양교육
Ⅲ. 독서토론과 아이러니 교수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주(Kim, Hyun-Ju). (2011).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교양교육연구, 5 (1), 229-261

MLA

김현주(Kim, Hyun-Ju).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교양교육연구, 5.1(2011): 229-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