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교육을 위한 현대과학과 생명교육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Contemporary Science and the Life Education for the Liberal Ar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안호영(Ahn, Ho-You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7권 제3호, 237~26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는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자연의 본성도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더욱이 적절한 질문을 제기할 수만 있다면, 그리고 제기된 질문에 대답하려고 끊임없는 노력한다면, 현재로서는 그목표가 무엇인지 말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조만간에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게 될 것임을 희망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나아가 우리는 생명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서도 과학적 설명을 생명의 연구에 곧바로 적용하는데 아무런 거리낌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생명의 의미는 무엇인가?과학적 견지에서 생명의 의미는 그 시대적 환경에서 도출된 과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거나 반박하면서 변천을 거듭해왔고 또 확장되어 왔다. 그 결과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생기론과 기계론 그리고 유기체주의 사이의 어디쯤에 놓여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그래서 현대 과학의 발달이 생명의 의미에 어떤 변화를 야기했고, 또 그 의미를 얼마나 확장시켜왔는지를 살펴보려고 할 때에 과학적 자료들과 과학사적 내용을 포함한 여러 학문 분과들이 참여하는 것은 필수적일 것이다. 그러므로 생명의 의미를 이해하기위해 특정한 학문 분과에 한정하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다양한 학문 간의 소통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와 탐구를 통해서 교양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정의하는 생명의 의미를 스스로 이해함으로써 생명이 무엇인가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강의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akes us have the confidence which we could get the essence of nature. Furthermore if we could find out the proper questions, and we could increase the desire to search for its answers, then we would hope sooner or later to arrive at the goal, even whatever it is. Such attitudes also will be applied directl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life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meaning of life. Then here what is the meaning of the life?In these days, it is very strange and distinctive that the meanings of life has wide and broad spectra which are somewhere between vitalism, mechanism and organism, since the meaning of life has been changed and expended by the science. Thus, it is important to shed new lights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life with help of the comtemporary science including scientific data and the contents of the history science. Through these discussions and investigations, we would try to propose the model of lecture that opens and improve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meaning of life for the students themselves who attend the liberal arts.
목차
Ⅰ. 서론
Ⅱ. 생기론과 ‘생명의 분자’
Ⅲ. 유기체주의와 현대과학
Ⅳ. 현대과학과 생명교육
Ⅴ. 교과목 강의 구성 및 예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학습양식 차이를 고려한 교양교육의 필요성 연구
- 융복합 교양교과목 <글로벌 시민정신(Global Citizenship)>개발 연구
- 읽기와 쓰기의 통합 모형 연구
- 교양과 전공 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과과정 시론
- 대학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 교양 성서 과목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연구
- 지식기반사회에 조응하는 대학 교양교육체제
- 한국 근대 무속시의 형상화 방법 및 교육적 의의
-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사례
- 교양교육을 위한 현대과학과 생명교육
- 융 복합 교양교과목 개발과 효과에 대한 고찰
- 글로벌 마인드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 - 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질적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응용하여
- 선과제 학습유형과 자기조절능력 수준에 따른 정신모형 차이
- 대중예술에서의 연금술과 과학의 이미지
- 의사소통과 기술문 쓰기
- 대학 토론 교육의 의미와 구체적 적용
-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