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교수학습법 모색
이용수 79
- 영문명
- A Study on Team-Based Learning(TBL) as a Teaching Method of Academic Writing for College Student-Focused on Quot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진희(Jeong, Jin H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7권 제5호, 137~1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강좌의 학습 효과를 제고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학생들이 학술적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까닭을 학생들이 학술적 글쓰기의 양식적 특징을 개념적으로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또 그 지식을 수행에 적용할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파악하였다. 따라서 개념 습득과 개념 적용을 통한 문제 해결력 향상을 지향하는 교수학습 방법인 ‘팀 기반 학습’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론적 가능성을 토대로 이 글에서는 팀 기반 학습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델을 학술적 글쓰기의 양식적 특성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인용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팀 기반 학습을 기반으로 여기에서 제안된 수업 모델은 실습과 첨삭, 협력 학습 등 대학 글쓰기 강좌에서 활용되어 온 일반적인 교수 방법을 보완하고 강화하여 학습자의 글쓰기 수행 능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쓰기 과정 일반으로의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는 한편 다양한 문항을 개발하여 문제은행을 축적할 수 있다면, 팀 기반 학습을 토대로 하는 교수학습법은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writing classes in colleg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 the applicacity of Team-Based Learning(TBL) as a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cademic writing class of college. Now, the problems of academic writing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re misunderstanding the style of ‘academic’ writing as a discourse mode. So, second, they are not good at writing for academic studies in college. They have to understand the theory, and practice the skills of academic writing more and m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m-Based Learning have the possibility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academic writing. On theory, TBL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degree and writing capacity. So, as a trial, this study designed a learning model about ‘quotatin’ based on TBL, adding individual writing exercising and cooperative inter-tutoring system. For raising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writing classes in college, more and more ideas are needed using TBL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목차
Ⅰ. 머리말
Ⅱ. 팀 기반 학습(TBL)의 이론적 가능성
Ⅲ. ‘인용하기’ 단원의 팀 기반 학습 모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 ‘교양 키워드 읽기’를 활용한 《독서와 토론》의 수업내용 연구
- 임상적 비판적 사고 수업설계 연구
- ‘실용적 글쓰기’의 존재론과 당위론
- 과정 중심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 방법 모색
- 대학 글쓰기에서의 한국어 동료튜터링(peer tutoring)의 과정과 방법
- 대학 교양교육의 체제적 교수학습 실천 방안에 대한 고찰
- 단기 해외 체험에서 프로그램 구성 요인이 문화간 감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강좌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교수학습법 모색
- ‘개념적 혼성’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방안
- 대학 교양수업의 현장체험학습 활용방안
-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 학술적 글쓰기로서 논문 서평 쓰기 수업 모형 연구
- 읽기와 쓰기 교육에서의 ‘분석’의 의의와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