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의 관계
이용수 18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College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임이랑(Lim, i-Rang)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5호, 253~2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의 관계를 회복탄력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3.1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학업무기력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회복탄력성(통제성, 긍정성, 사회성)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학업무기력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통제성과 사회성은 학업무기력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대학생의 학업무기력을 완화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resili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online survey of 236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PROCESS macro 3.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helplessnes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control, positive and sociability).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helplessness, while control and sociality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helplessness. Third, it was shown that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helplessnes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pport measures were proposed to mitigate the academic helpless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a high tendency towar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eflective practice habits of university EFL teachers in South Korea - Underutilizing a crucial too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빅 히스토리를 적용한 교양 과학사 융합교육의 사례 연구
-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
- 고전 엮어 읽기의 사례 연구
- 과학소설(SF)을 통해 배우는 서사적 추진력
-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 이공계특성화대학 교양교육에서의 WAC 프로그램 도입 사례 연구
- 융합교양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 트랜스휴먼 시대의 인간 향상과 성숙
-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 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탐색(Ⅱ)
- 논증 분석과 평가 중심의 비판적 사고 교육법 옹호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무기력의 관계
- 교양영어수업에서 가상현실(VR) 앱 활용에 대한 연구
- 발화의 정도에 따른 소리내어 읽기의 효과
- K-CESA를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강화 교육사례 연구
- Korean College Students’ Identification and Suggestions for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Deficienc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