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cation Assessment by the Productivity of the Natural Saltern : Focusing on Shin-An Gu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서수복(Seo, Su Bog) 조지훈(Jo, Ji Hun) 김재경(Kim, Jae Gyeong)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22권 제1호, 127~1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건강과 자연재해 등의 영향으로 천일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천일염산업은 과거 소금의 수입자유화와 폐전(廢田)정책으로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지역사회에 나쁜 영향으로 남아 있다.
자연환경이 우수한 갯벌에서 생산되는 우리나라의 천일염은 천연 미네랄이 다른 나라의 천일염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서남해안과 신안군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에 대한 품질이 높게 평가되면서 전국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신안군이 천일염산업특구로 지정되었다.
신안군은 천혜의 천일염 생산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생산지가 수많은 섬에 퍼져있고 재래식 생산방식에 노동력도 취약하여 생산성이 낮은 실정이다. 특구로 지정된 범위 또한 사업에 집중하기 쉽지 않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안군에 분포한 천일염전 입지(섬)별로 생산성(순위)을 평가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입지를 제시하여 천일염전의 집약적 특구관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성이 높아 천일염전으로 특화함으로서 생산의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는 지역은 증도, 도초, 임자, 비금, 하의지역 순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증도와 임자는 단위당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자연환경에 의한 생산성은 우수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생산자의 마인드를 제고 시킨다면 비효율적인 생산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interest on the natural salt is increasing under the influence of health and natural disaster. However, the natural salt industry has a lower productivity and a bad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owing to the salt import freedom in the past and the policy of disusing a saltern. The Korean natural salt produced in the wetlands with favorable natural environment has more minerals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Especially, Shin-An Gun producing over 60% in the national salt products is designated as the exclusive zone of natural salt industry because the quality of natural salt produced in Shin-An Gun and the southwest sea is highly valuated,Although Shin-An Gun has a good salt producing environment conditions, its productivity is low because areas of production are widely distributed over many islands, a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is used, and it is suffering from a shortage of workers. It is also difficult to carry forward a business because the exclusive zone area is widely sprea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ranking of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island locations spread in Shin-An gun, and to contribute to the intensive management of the exclusive zone by suggesting the excellent location in productivity.
Our study shows that the orders of areas in achieving the efficient production by specializing as the natural saltern are in Jeungdo, Docho, Imja, Bigeum and Haeui. Especially, Jeungdo and Imja are the best of areas in productivity by favorable natural environment in spite of relatively low in production per uni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efficient productivity if the mind of producers is improv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신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과 브랜드 가치 비교 연구 - 울산시 북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