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산업단지 정책의 전환을 위한 연구
이용수 57
- 영문명
- A Study on th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박영철(Park, Young Chul)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22권 제2호, 233~26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는 1962년 울산공업센터 건설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900여개의 산업단지를 조성하여 제조업성장의 물리적인 기반을 구축하였다. 산업단지는 국민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국가산업단지의 역할이 컸다. 그러나 지식기반경제시대의 도래에 따라 국가 산업입지 개발도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산업입지의 개발전략의 설정에 앞서 감안해야 할 여건의 변화로는 FTA 등에 따른 경제의 세계화 확대, 산업구조의 고도화, 기술혁신과 첨단기술산업의 성장, 지방자치와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증대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산업단지의 정책과제를 보면 첫째, 국민경제성장에 대한 큰 기여와 향후 신성장 동력산업의 육성 등을 감안하여 국가산업단지 역할의 새로운 설정과 신규 국가산업단지의 합리적 개발, 둘째, 기존 국가산업단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의 마련과 추진, 셋째, 지식기반산업을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의 입지수요를 효과적 수용하기 위한 정책, 넷째,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적극적 지원 필요 등이다.
향후 국가산업단지 정책의 방향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산업단지 제도 자체의 존치, 둘째, 국가산업단지 개념의 재정립, 셋째, 국가산업단지에 국가전략산업 핵심거점이라는 역할 부여, 넷째, 일부 기존 국가산업단지의 일반산업단지로의 선별적 추진, 다섯째, 신규 국가 산업단지 개발의 합리적 추진, 여섯째, 산업단지 개발의 지원 확대. 일곱째, 노후 국가산업단지 재생의 획기적 추진, 그리고 여덟째, 국가산업단지의 환경친화적 개발 및 관리 등이다.
영문 초록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its foundation of industrial growth by constructing more than 900 industrial complexes across the country, beginning with Ulsan industrial center in 1962. Industrial parks, especially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economy.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paradigm shift of development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s requir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based economy.
With respect to accomplishments and issues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first, national industrial estates made great contribution to national economy growth. Considering the growing needs for promoting new industries such as knowledge-based industry, industrial complexes should maintain its main role, and furthermore development of new national industrial parks is required. Second, existi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declined in importance. A great breakthrough i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existi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s required. Third,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are growing less and less, which means establishing a policy to facilitat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Last, the role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should be maintained in order to fulfill the growing demand on industrial location for knowledge-based industries, in other words, a support for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is required.
Policy alternatives for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tenance of industrial parks system, second, revision of conceptual model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third, assigning the roles of a strategic position for key national industries, fourth, rational development of new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fifth, support expansion of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es, sixth, regeneration of old industrial complexes, and last,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목차
Ⅰ. 머리말
Ⅱ. 산업단지 개발 실태와 특성
Ⅲ. 국가산업단지 정책추이와 개발 실태
Ⅳ. 국가산업단지 정책의 전환 필요성
Ⅴ. 국가산업단지 정책 전환의 방향
Ⅵ.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