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후산업단지의 쇠퇴 영향요인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3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ypology and Factors Affecting the Decline in Old Industrial Park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박환용(Park, Hwan Yong) 박지호(Park, Ji H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27권 제4호, 7~2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후산업단지의 쇠퇴영향요인을 진단하고 그 특성을 바탕으로 노후산업단지를 유형화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노후산업단지의 재생방안으로 연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착공시점을 기준으로 20년이 경과한 94개소 노후산업단지에 대해 17개 지표를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그 중 장치산업단지 5개소를 제외한 89개소 노후산업단지의 15개 지표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15개 지표는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1은 ‘시가화 가능성’, 요인2는 ‘생산효율성’, 요인3은 ‘기반시설 쾌적성’, 요인4는 ‘입지 잠재성’, 요인5는 ‘지원시설 충족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5개 요인점수의 하위 25%에 해당하는 산업단지를 추출하고 어떠한 쇠퇴영향요인이 잠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요인분석 결과 시사점은 ‘시가화 가능성’은 산업단지내 입주 기업업종과 토지이용과의 관련성을 내포하고 있다. ‘생산효율성’분야는 기업들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기반시설 쾌적성’요인은 자생적인 재생유도보다는 정부 및 지자체가 직접 관여하여 물리적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입지잠재성’ 요인은 광역급 인프라 구축, 산단내 기반시설의 개선 및 정비, 지가상승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를 고려하거나 산업구조고도화를 위한 업종변경 등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원시설 충족성’은 필요한 지원시설 공급을 위해 노후산업단지의 정확한 쇠퇴진단을 통해서 유휴부지를 발굴하거나 국·공유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and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old industrial parks, and eventually link the results to the regene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For this reason, we performed a factor analysis by utilizing 15 indices of 89 industrial parks, excluding 5 large equipment industry sites. The 15 indice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Factor 1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urbanization possibility’ for the indices of building age, plot ratio of less than 1,650 ㎡, and urbanization ratio of the surrounding area. Factor 2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productive efficiency’ for the indices of land productivity, amount of exports by land, employment productivity, and repair costs of industrial areas. Factor 3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infrastructure amenity’ for the indices of road ratio, plot ratio attached to the road, and parks and recreation ratio. Factor 4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location potentiality’ for the indices of land price, infrastructure age, and distance to the highway, while factor 5 can be described as a category of ‘availability of supporting facilities’ for the indices of parking lot ratio and supporting facility land ratio. By using these 5 factor scores, we were able to extract industrial parks included in the lower 25% of the factor score and searched for what kind of factor problem they have for each industrial par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will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decline of industrial parks with respect to their demer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reg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job creation, in the process of industrial regene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노후산업단지 쇠퇴의 개념 정의 및 기존 문헌 고찰
Ⅲ. 노후산업단지 쇠퇴지표의 선정 및 측정
Ⅳ. 노후산업단지 쇠퇴 영향요인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