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영어교육 경력별 대응방식 연구
이용수 251
- 영문명
- A Study on Ways of Dealing with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Clas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현(Lee Su Hyeon) 정혜영(Chung Hye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4호, 321~3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영어수업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대응방식을 기술, 이해, 해석함으로써 교사의 영어수업 전문성 신장을 돕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영어교육 경력을 고려하여 22명의 초등교사를 눈덩이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선정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자료의 일반적인 분석과정과 Nvivo 1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해 영어교육 저경력 교사들은 ‘교사 자신을 향한 것’을 중심으로 대응하려고 하지만, 고경력 교사들은 교사 자신뿐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것’을 통해 대응하며 경험이 축적되면서 신장된 영어수업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교육 저경력 교사들에게는 ‘지속적인 연습’을 하도록 유도하고, 고경력 교사들을 위해 교사 학습공동체와 같은 파트너쉽을 활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반성적 수업 실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by describ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how they’re treating ‘teaching difficulties in English clas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implemented to 22 elementary teachers to understand their treating method for difficulties of teaching English in class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treating method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thods for treating difficult situations that teachers who have more than 3 years of English education career are different from teachers who have less than 3 years of English education career.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focus on themselves by trying to find the teacher-centered methods for treating difficulties. But the experienced teachers see outer factors and they ask help from co-teachers or students to treat difficulties. They believe participating in teachers communities is a good way to get ideas and to cooperate. It was concluded that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need to strengthen their identity as English teacher by continuous practice, as for experienced teachers they need to improve their teaching profession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nsider how they respond in the complex and diverse environment when they teach English by using partnership from learning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의(discussion) 기반 수업에 대한 대학 내 인식 연구
- 유아교사의 디자인씽킹에 대한 인식 연구
-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Case Study of English Language Teacher’s Practices and Beliefs about Oral Corrective Feedback
- 세대에 따른 유아의 실개천 놀이 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영유아 안전교육을 위한 보육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 초등학생의 뉴스포츠 활동 경험과 인식
- 다층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효과 분석
- 특수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 감정코칭을 활용한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운영 특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하브루타 연구동향 분석
- 사회배려대상을 위한 대학입학전형에 관한 연구
- 수학교과인성요인과 수학불안요인과의 관계 분석
- 참여적 실행연구를 통한 연구자와 참여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 예비 수학교사의 공학도구활용 수업에 관한 전문가 비전 변화 탐색
- 자폐성장애 감각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CEFR 의사소통 언어활동 및 전략에 기반한 초등 영어 의사소통 기능 분석
- 교육실습 지원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온라인 시스템 설계 방안 탐색
- 초등예비교사 대상 탐구 기반 수학수업에서 교사교육자의 역할
-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실과 ‘기술 활용’ 영역 단원 구성안
- Converting to an Absolute Grading System for Freshmen English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 실천적 참여를 위한 사회과교육방안 탐색
- 수업 후 성찰을 통해 살펴 본 예비교사들의 교실영어에 관한 연구
- 영어 읽기 수업 시연에 나타난 예비 및 현직 교사들의 자기, 동료 및 전문가 평가 방식의 비교 분석 연구
- 교사학습공동체를 활용한 교육실습 운영: 실습지도교사들의 역할 수행과 경험
- 나눔반 유아들의 그림책 의미구성 과정 탐색
- 대학생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디자인씽킹 팀기반학습(Team Based Learning)
-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담론
- 초등교사의 ‘영어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영어교육 경력별 대응방식 연구
- 보드게임 기반 초등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국내 이민자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영미권 대학 신입생 교육 비교 연구
- 영재교육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영재교육에 관한 인지프레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가진 어머니가 인식하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현장의 성취도 평가에서 학습자 모국어 사용의 역할
- 체험의 이미지화를 통한 시 창작교육 시론
- 이러닝(e-learning) ‘아버지학교’ 수업운영에 관한 연구
- 자유학기제가 교사 전문성에 미친 영향
-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 미치는 요인의 군집 유형과 외적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에서의 차이
- 대학입학전형 유형과 대학 신입생의 공교육 및 사교육 경험 변인 간의 관계 탐색
- 보육교사의 DISC행동유형이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동요의 분위기 및 노랫말의 내용 분석
- 교사 의사결정 권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및 학교특성 변인 탐색
- 농촌 초등 6학년 8명의 영어 미술 교과 통합수업에서 영어책 만들기 실행연구
- 대학에서의 학습자 중심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 아버지의 자녀가치가 아버지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비판적 사고력 강화를 위한 교양 영어 수업 사례
- 보건의료 종사자와 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생명윤리의식과 인공지능인식의 상관관계 연구
- 한나 아렌트의 교육관에서 삶의 공간으로서의 학교에 대한 고찰
-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의미와 성격 탐색
- 학업적 실패에 대한 일고찰
-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odel in an EFL Speaking Class for Adult Learners
- 어린이집 원장의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이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소년법 담론 탐구
- 초등학생 분수감각 검사 도구 개발 및 유용성 검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 대학의 폐허화 분위기와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성 실험
-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개발 연구
- 초등학교상담의 관점에서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재해석
-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셀프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
- Students’ Perception of Problem-based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The Research on job burnout of college English teachers in China
- 예비중등교사의 셀프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대입 인성평가 요소에 대한 통합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