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안전망 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이용수 70
- 영문명
-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Network Management System - Focused on the Civil·Police Cooperation System in Gyeongnam Area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진혁(Kim, Jin-Hyeok)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8권 4호, 216~244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민이 실생활을 영위하는 지역사회 안전도는 선진국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관리는 국가기관에 의해 총괄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안전은 관리책임의 문제가 아니라 실질적인 안전상태의 달성이 중요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관련 자료의 집약으로 위험대처 능력이 강화되었다고 여겨지지만, 현실의 위기대응능력은 우리 기대와 다른 것이 사실이다. 실질적 안전달성은 거대한 관리체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실거주 지역별로 촘촘한 안전관리망이 구축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의 사회안전을 위해 민간과 경찰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지역사회안전망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역사회안전망은 위험의 종류와 지역환경을 결합하여 일반-구체적 위험, 일반-추상적 위험, 특별-구체적위험, 특별-추상적위험의 4가지 조합을 기준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안전의 궁극적 달성을 위해서는 위험별 민관 협력시스템 구축, 현장 대응능력의 극대화, 지역안전 평가위원회 설치, 예방적 상담 관리사 제도 도입, 안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사회는 관리의 주체와 객체가 별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모두가 인식하여 안전인지감수성을 제고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degree of community safety in terms of citizens’s lives is the most important measure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ountry is developed. In general, safety management is recognized as being supervised by a national institution, but the achievement of actual safety conditions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sponsibility of management.
Modern society is believed to enhance its ability to handle risk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tegration of related data. However, the risk management ability falls far short of our expectations. Realistic safety can be achieved not by a large management system but by a dense safety management network by an actual residential area.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measures to establish a community safety network management system jointly managed by the private sector and the police at the local level. The community safety network, combined with the type of risk and the local environment, is designed to be developed on four criteria: general-concrete risk, general-abstract risk, special-concrete risk and special-abstract risk.
The ultimate attainment of safety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system by risk, the maximum of field response capacity,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safety assessment committee, the introduction of preventive consultation manager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safety infrastructure. About all, the fact that the subject and object of managing a safety society are not separated must be recognized and everyone should achieve it together.
목차
Ⅰ. 서론
Ⅱ. 지역사회안전망 개념 및 작용
Ⅲ. 경남지역 사건사고사례 및 문제점
Ⅳ. 민관협력 지역사회안전망 관리시스템 구축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이탈주민의 인권보호를 위한 신변보호제도 개선방안
- 무질서가 범죄두려움과 범죄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함정근무 해양경찰공무원의 우울척도 타당성 연구
- 사인에 의해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여부와 근거에 대한 연구
- 미디어를 통해 수용된 일반대중의 범죄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증오범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경찰공무원의 여가활동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안전망 관리시스템 구축방안
- 안보위해범죄의 동향과 정보공동체(IC)의 역할 분석
- 보호관찰소의 이미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여성살해 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의 역사성과 기고논문의 연구 경향성에 관한 실증분석
- 신뢰 받는 공동체 치안활동의 활성화 방안
- 우리나라와 미국 법원의 경찰 물리력 사용 적법성 심사 기준 비교 연구
-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범죄피해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