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mproving Reaction-Diffusion Based Tone Representation using Discontinuity Information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조청운(Cheung Woon JHO)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2권 4호, 177~18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반응-확산 모델을 이용한 연속적인 톤의 표현은 형태형성물질의 패턴 형성 방법을 이용한 기법이다. 그레이스케일의 영상을 형태형성물질의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서 이산적인 밝기를 가진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영상을 점과 선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게 해주어 다양한 스타일의 영상 렌더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영상의 밝기 정보가 형태형성물질로 변환되고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했을 경우 예측 가능한 결과를 낸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실제 실험에서는 대체적으로 급격히 변하지 않는 영상 신호에 대해서는 이러한 가정이 잘 들어맞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나타내지만 영상 신호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결과 영상에 문제(artifact)가 나타난다. 이는 밝기차이가 급격히 변하는 부분에서 검은 선 형태로 나타나며 이러한 부분은 원영상의 신호와 다른 결과를 낸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반응-확산모델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새로운 계산 방법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밝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을 검출하고 이러한 부분에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해결하였다.
영문 초록
Representation of continuous tones using a response-diffusion model is a technique using pattern formation of morphogens. Grayscale images can be converted into images with discrete brightness using a mathematical model of morphogenetic material. This method allows the image to be converted into dots and lines, which can be used to render images in various styles. Th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image is transformed into form-forming material and produces a predictable result when simulated. In actual experiments, the assumptions are good for the video signal that does not change rapidly, but the result shows the artifact in the result image for the rapidly changing part. This is shown in the form of black lines in the part where the brightness difference is rapidly changed, and this part may be different from the signal of the original im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 by deriving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in the reaction-diffusion model and suggesting a new calculati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solves this problem by detecting the part where the brightness changes abruptly and controlling it so that diffusion does not occur in this part.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Background
3. Proposed method
4. Results of an experiment
5.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llection of user’s biosignal data for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game contents usability an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ization solution
- Implementation of a 3D Scene Access Interface Using Unity and X3D
- A study of effective platform to enhance SW learner’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 A Study on the Exhibition Using Multi Development Tools : Focused on Animal Kiosk
- A Study on the Partial Path Generation in the A* Path Search
- Adventure Game Design using Location-based AR Technology
- Art Coding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 A Study on the Game Immersion and Emotional Evaluation through Eye Tracking
- R&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Informatics using Computer Game Development
- Research on the Importance Mobile MMORPG Design Factor Using AHP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Willingness to Use Commercial Online Games in School
- A Study on the Serious gam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 Focus Guide Marker with Movement in 360 ° VR Environment
- A New Unlock System available in Offline Space-moving Game
- A Study on Parent Education for Attachment-based Infant Brain Development Using M-Learning
- Gamification for Education of Deep Learning
- Improving Reaction-Diffusion Based Tone Representation using Discontinuity Information
- Research on Emotional Interaction Design in Trading Card Game
- Development of Serious VR Game for Chinese Daily Expression Learning: Taking the Game Classroom Simulation as an Example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