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0년대 북한교육의 과제

이용수  190

영문명
study on Tasks of North Korean Education in the 2020s
발행기관
한국통일교육학회
저자명
박찬석(Park Chan Seok)
간행물 정보
『통일교육연구』제16권 제2호, 23~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년대 북한 교육의 개편은 북한 사회의 중요한 이정표를 던져 줄 것이다. 그 때에도 지금처럼 북한은 백두산 영웅 3대째 통치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 김정은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신뢰는 계속 얻을 것인가? 는 의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해 북한 교육은 정치 사상교육과 더불어 과학 교육과 다양한 창의적 교육 방법을 계속 강구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분명 객관적인 세계 추세에 따른 북한의 상황을 스스로에게 드러내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 북한 주민들은 당이나 김정은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 의미 있는 변화는 있지만 현재적 상황의 지지와 관심을 계속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현재와 같은 정치 사상교육 중심의 입장은 변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북한 교육의 전반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기에 북한 교육 당국은 교육적 과제를 풀고 국제적 추세를 받아드리면서 새로운 창의적 교육적 페러다임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지금보다는 느슨한 정치사상 교육의 강도가 이어질 것이고, 이를 통해 사회주의 자본시장을 중시하는 교육적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reorganization of North Korean education in the 2020s will give an important milestone in North Korean society. North Korea has maintained the third generation of Baekdu Mountain heroes. In this process, North Korean residents trust in North Korea continues. Such credibility continues to be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 In the meantime, science and education should be spurred further by following international trends. This process will surely reveal the situation of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objective world trend. The North Korean people s trust in the party and Kim Jong Eun is likely to continue. Nevertheless, the current position of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s changing and it is expected that the overall change in North Korean education will be achieved. In other words, a new creative educational paradigm will be created by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and accepting international trends. It is expected that a loose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will be achieved and an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be created that emphasizes the socialist capital market.

목차

Ⅰ. 서 론
Ⅱ. 북한 교육의 전략 이해
Ⅲ. 2020년대 북한 교육의 진척
Ⅳ. 2020년대 북한 교육에 대한 전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석(Park Chan Seok). (2019).2020년대 북한교육의 과제. 통일교육연구, 16 (2), 23-49

MLA

박찬석(Park Chan Seok). "2020년대 북한교육의 과제." 통일교육연구, 16.2(2019): 2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