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실의 위치와 운영방식이 작가의 작품 활동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연구
이용수 265
- 영문명
- An Analytical Study on Direct and Indirect Influential Factors of Workroom Location and Management Methods that Affect the Work Activities of Artists - Focused on Craft Artists Who Create Work in Workroom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최기(Choi, Ki) 고보형(Koh, Bo-hy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2집 4권, 203~22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실의 위치 및 다양한 운영방식과 공간을 사용하는 공예작가의 전반적인 작품 활동과의 상관관계를 사례 검토, 작품특성 고찰, 공예작가 심층 인터뷰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작업실의 환경과 운영방식이 공예작가의 작품 활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작업실의 위치와 주변 환경은 사용자와의 소통빈도, 작품재료의 원활한 수급 여부, 작품제작의 집중도 등의 영향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실의 운영방식은 타 공예작가와의 교류여부, 효율적인 작품제작 공간 확보 등에 대한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공예작가의 작업실은 각각의 위치와 단독 또는 공동 사용 여부, 직접 또는 입주에 의한 간접 운영 여부에 따라 작품제작, 홍보 등의 작가 활동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room location and various management methods and the general work activities of craft artists who use those spaces through case examinations, work characteristic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 surveys with craft artists to verify direct and indirect influential factors of workroom environments and management methods that affect the work activities of craft artists. Workroom locations and environments have influential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frequency with users, the smooth supply and demand of work material, and the concentration of work production and workroom management methods can affect communication with other craft artists and the securement of effective work production space. Verifications were made that artist activities such as work production and promotion could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tails of the workrooms of craft artists, including location and whether the workroom is for independent or shared use, and whether it is directly managed or indirectly managed through residential use.
목차
Ⅰ. 서 론
Ⅱ. 작업실의 개요 및 유형 분류
Ⅲ. 작업실 유형별 사례 조사 및 특성 분석
Ⅳ. 작업실 유형별 공예작가 인터뷰 조사
Ⅴ. 작업실과 작품 활동의 상관관계 추론 및 검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설치미술에서 오브제의 공간 확장에 따른 조형 표현 연구
- 현대여성의 가정역할 갈등을 형상화 한 장신구 연구
- 근대 초기의 貞洞街와 일대 유적 출토 근대도자의 성격과 특징
- 조각보의 기하학적 형태가 지닌 조형성 연구
- Postmodern 도예에 전개된 분장장식의 매체 연구
- 촛대의 역사적 고찰 및 국내 공예가의 조형 사례 연구
- 이모티콘 표현 유형이 캐릭터 애착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공지능 기술의 BIM 건축계획 분야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 잣물림 기법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사례 연구
- 분청사기 문양을 활용한 넥타이디자인 연구
- 미디어 아키텍처의 환영과 실재성
- 지능형 방음터널 개발을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핵심 기술 및 디자인 연구
- 옻칠 고온경화기법을 활용한 알루미늄 표면질감에 관한 연구
-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 출토 유리판 및 사리병 분석을 통한 백제 유리공예의 발전상 추론
- 1인 가구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융합 기술이 적용된 텍스타일 사례와 유형 분류
- 여성주의 표현에 관한 한국현대도예 연구
- 디지털 미디어를 바탕으로 한 제품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미학표현에 관한 연구
- 장소성 측면에서 원도심활성화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중심공간 출입순회형의 오브제적 실내파빌리온 전시를 적용한 대구섬유박물관 공간디자인
- 작업실의 위치와 운영방식이 작가의 작품 활동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연구
- 나전·옻칠공예 활성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