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Different Intensity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n Anti-diabetic and Lipid Profile Improvement in Type 2 Diabetic mice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윤병곤(Byung-Kon Yoon) 박찬호(Chan-Ho Park) 우진희(Jin-Hee Woo) 신기옥(Ki-Ok Shin) 노희태(Hee-Tae Roh) 김도연(Do-Yeon Kim) 김정숙(Jung-Sook Kim) 하수민(Soo-Min Ha)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6권 제4호, 1108~111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2형 당뇨 마우스로 8주간 50%, 75% 강도의 유산소성 및 저항성 운동을 수행하여 항 당뇨 및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39주령 C57BL/6 마우스 48마리를 일반식이정상군(Normal, n=8)을 제외하고,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제2형 당뇨군(DM, n=8), 제2형당뇨+VO2max 50% 유산소운동군(DM50A, n=8), 제2형 당뇨+VO₂max 75% 유산소운동군(DM75A, n=8), 제2형 당뇨+1RM 50% 저항운동군(DM50R, n=8), 그리고 제2형 당뇨+1RM 75% 저항운동군(DM75R, n=8)으로 구분하였다. 유산소성 운동은 주 5일, 1일 40분씩 8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A군은 1~4주는 8m/min, 5~8주는 8~10m/min으로, DM75A군은 1~4주는 12m/min, 5~8주는 12~14m/min으로 점증하여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은 주5일 8주간 사다리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R군은 1RM의 50%, DM75R군은 1RM의 75%로 운동 반복 사이 2분간의 휴식을 주어 총 8번의 Climbing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운동 후 공복 혈당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인슐린은 운동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OMA-IR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bA1c는 DM군에 비해 DM50R 및 DM75R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과 LDL-C는 DM운동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HDL-C는 DM75A군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중성지방은 DM75R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심혈관 위험 지수는 Normal군 및 DM75A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T2DM 마우스에서 중강도의 저항성 운동은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 조절에 더나은 개선을 보여주었으며, 중강도의 유산소성 운동은 HDL-C 수준 증가를 통한 심혈관 위험 지수를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f different intensity on anti-diabetic and lipid profile improvement in type 2 diabetic mic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8, in each group): normal group (Normal), type 2 diabetes (DM), type 2 diabetes+VO₂max 50% aerobic exercise group (DM50A), type 2 diabetes+VO2max 75% aerobic exercise group (DM75A), type 2 diabetes+1RM 50% resistance exercise group (DM50R), and type 2 diabetes+1RM 75% resistance group (DM75R). DM50A and DM75A were subjected to treadmill exercise 40 min/day, 5 days/week, during 8 weeks (DM50A, at the speed of 8 m/min for 1-4 weeks and 8~10 m/min for 5-8 weeks; DM75A, 12 m/min for 1-4 weeks and 12~14 m/min for 5-8weeks). DM50R (1RM50%) and DM75R (1RM75%) were subjected to ladder-climbing exercise with weights secured to their tails, 8 set/day, 5 days/week, during 8 weeks. After 8 weeks of exercise, fasting blood glucose and HOMA-IR was significantly lower in DM group than in DM group. HbA1c showed significantly lower DM50R and DM75R groups than DM group. HDL-C showed the highest level in DM75A group and triglyceride was lowest in DM75R group. The cardiovascular risk index was lowest in the Normal and DM75A groups. Therefore, moderate intensity exercise in T2DM mice showed better improvement in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istance control, and moderate intensity aerobic exercise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cardiovascular risk index by increasing HDL-C level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고 찰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고체형 에너지 저장 매체 제조를 위한 이온성 액체 기반의 고체 전해질과 탄소나노복합체 기반의 전극소재 개발
- 노르딕 워킹이 퇴행성 무릎 관절염 노인여성의 근력과 유연성, 균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문화와 사회변화의 관계 탐색
-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 용매 환경에서의 폴리아미드 고분자 재료의 자체확산과 유변학적인 특성
- 신체기능장애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웰니스
- 복합운동이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노인의 Irisin, 신체조성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
- 유기농 식물성 계면활성제의 합성과 베르가못오일에 대한 가용화력에 관한 연구
- Yellow-colored mats in Jeju Island lava tubes
- 사과, 복숭아, 딸기 품종에 따른 비타민 B1, B2 및 나이아신 함량 비교
- 스위스볼을 이용한 코어 저항 운동이 농업 여성노인의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 DMPA의 함량이 우레아 수지의 수분산 안정성과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능실 열매의 부위별 추출물 및 캘러스배양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 연구
- 추출용매에 따른 복령(Poria cocos Wolf)과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비교
- CKD 추출액내 KCl 제거를 위한 이온교환수지 조업조건 최적화 연구
- 미세기포 세척장비를 이용한 도로시설물 염화칼슘의 제거
- 30kW 급 합성가스 열병합 시스템 개발 및 효율 성능평가
- 어린이수영장의 서비스품질과 만족 및 고객충성도 관계
- 공군사관학교 여생도의 신체조성 및 체력에 관한 연구
- Eathyl acetate와 Piperazine이 적용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Skin layer 코팅에 따른 특성 연구
- 히트펌프 실외기의 서리층 형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 제주 자생 감국 꽃 추출물 유래 flavonoid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의 최근 연구동향(제1보)
- 메타분석을 통한 학교 체육에서의 심상훈련 효과 분석
- 안면 구획화에 따른 부위별 피부개선 효과
- Momordica charantia extract supplementation tend to affect improvements i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parameters on tennis players: A pilot study
- 대학생의 건강지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지골피 추출물이 류마티스관절염 관련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
- 폐경여성의 동물모델에서 비만개선에 대한 제니스테인의 농도 의존적인 영향
- 기능성 소재로서 녹두(Phaseolus aureus L.)의 이화학적 특성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DTAB, TTAB 및 CTAB)에 의한 아닐린의 가용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 The activation of PPAR-α and Wnt/β-catenin by Paeonia lactiflora root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 국내 생강 에센셜오일이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이 항진된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 애엽 에탄올 추출물이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흰쥐의 간 손상 보호효과
- 골프참여자가 지각하는 소비가치, 소비성향 및 소비행동과의 관계
- 비만모델 랫드에서 지장김치의 혈액 지질대사, 항비만 효능 및 메카니즘
- 곤충 유래 바이오디젤의 국내 생산 가능성에 관한 고찰
- 고온 압출식 반응시스템을 이용한 억새 바이오매스의 KOH 전처리조건 최적화
- 스테인레스강 316L의 다양한 온도에서 폴리우레탄-에폭시 복합코팅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화학공정 수소가스 누출 사고 시뮬레이션
- 저지방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암컷 쥐에서 지질대사에 대한 fenofibrate과 17β-estradiol의 영향
- 다른 강도의 유산소성 및 저항성 운동이 제2형 당뇨 마우스의 항당뇨,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 간호교육에서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의 적용 효과
-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홍삼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사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골프 참여자의 과시적 여가소비와 스트레스 해소,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의 이중매개효과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웨어러블 로봇 기반 위상 궤적 분석을 활용한 비대칭 보행 평가: 재활 운동 전략 적용을 위한 파일럿 연구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인식,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간호정보활용역량 간의 관계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