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
이용수 57
- 영문명
- Pastor Hyung-Kyu Park’s Life and Theology - Following His Footsteps Opened the Way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최형묵(Hyung-Mook Choi)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87집(2019년 겨울호), 275~31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나의 믿음은 길 위에 있다.” 회고록의 제목처럼, 한국 민주화 운동의 실질적 구심이자 상징인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은 과연 길 위에 있었다. 그는 언제나 길을 열어가는 대열의 선두에 있었다. 박형규 목사의 삶을 돌아보면, 굴곡진 한국 현대사에서 정말 절묘하게도 필요한 때 필요한 자리에서 주어진 상황을 돌파해나가는 역할을 맡았다. 1973년 남산 부활절 사건으로 처음 투옥된 이래 여섯 차례에 걸친 투옥, 그리고 감옥행보다 더 고통스러운 노상 예배의 여정은 그가 어떤 의미에서 길을 여는 대열의 선두에 서 있었던가 하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박형규 목사는 민중 선교의 선구로서, 민중 사건의 유발자로서 민중신학의 원천을 형성하는 역할을 맡았다. 박형규 목사는 사실상 한국 민중신학을 탄생시킨 실질적 주역이었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을 형성한 한 기원으로서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을 조명한다. 그의 장쾌한 발걸음이 일궈낸 신학 사상에서 우리는 진정한 민중 해방의 복음이 갖는 역동성을 실감한다. 우리가 그의 신학 사상을 논하는 것은 그 역동성을 오늘의 교회와 삶의 현실에서 되살리고자 하는 데 그 뜻이 있다.
영문 초록
“My faith is on the road.” Like the title of his memoirs, the life and theology of Pastor Hyung-Kyu Park, the real center and symbol of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on the road. He was always at the forefront of the democratic movement. Looking back at Pastor Hyung-Kyu Park’s life, he took on the role of breaking through the given situation in the most necessary time and necessary place in Korea’s twisted modern history. The six experiences of imprisonment since his first imprisonment for the 1973 Namsan Easter Incident and his experience of street-worship show how was a leader. Pastor Hyung-Kyu Park played a role in shaping Minjung theology as a pioneer of people’s mission and as a cause of people’s events. Pastor Hyung-Kyu Park was in fact a real protagonist who gave birth to Korean Minjung theology.
This article highlights Pastor Hyung-Kyu Park’s life and theology as a source of Minjung theology. In the theological thought formed in his great steps we realize the dynamism of the gospel of true people’s liberation. Our discussion of his theology is meant to bring that dynamism to life in today’s church and life.
목차
Ⅰ. 서론
Ⅱ. 실천하는 신앙인으로서 박형규 목사의 신학 사상에 대한 접근 방법
Ⅲ. 해방을 향한 순례의 출발 - 신학 수업
Ⅳ. 해방의 길목에서 - 한국 민중 운동의 성장과 박형규 목사의 신학
Ⅴ. 폭력 악신을 물리치는 십자가 행진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라질 가톨릭 운동과 해방신학의 기원
- 사마리아 여인 이야기(요한복음 4:1-42)에 대한 개성화 관점에서의 연구
- [난구 해석] “그 여자애가 있다아이가, 나이 열둘이었어”입말 표지 ἦν γὰρ 연구를 통한 마가복음 5장 42절의 번역과 해석
- 박형규의 기독교 사회운동론의 형성과 활동
- [권두언] 생수의 강
- 편집후기
- 박형규 목사의 삶과 신학
-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유 과정 가운데 나타난 반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약성서 연구에 있어서 사회 정체성 이론의 적용과 기여
- 칸트의 자율과 레비나스의 타율에 있어서의 ‘자유의 수동성’ 연구
- 장애는 장해인가?
- 한국 문화신학자 김찬국의 평화 신학
- 헨리 그래디 데이비스의 설교 형태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 메노라에 비친 시편 67
- 기계와의 친밀 관계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 도마복음의 말씀 번호 매김에 관한 연구
- 만우 송창근 목사의 ‘민족 목회’ 형성과 배경에 관한 연구(1898-1920)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