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동포 남성간병인의 돌봄 경험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이용수 376
- 영문명
-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Chinese-Korean Male Hospital Caregivers Experience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한정우(Han, Jeong-Woo)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사회복지정책과 실천 5권 2호, 133~177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한국사회의 돌봄과 관련하여 두드러진 현상은 중국에서 이주한 중국동포 남성이 간병인으로 대거 진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요양병원과 일반병원에서 간병인으로 일하는 중국동포 남성들에 대한 민족지적 조사를 수행하여 현대 한국사회 돌봄의 사회화에서 갖는 의미와 젠더 질서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조선족 남성 간병인에 대한 자료나 선행연구가 없는 까닭에 이 연구는 인류학적 현장 연구를 통해 남성 간병인의 돌봄의 현실에 접근하여 이를 중층적 기술로 드러낸다는 의의가 있다. 중국동포 남성 간병인은 방문취업제의 시행으로 중국동포들에게 돌봄 서비스 영역을 허용한 상황에서, 간병 인력의 부족에 대한 대응으로 직업소개소가 남성 환자 간병에 조선족 남성간병인을 공급하게 된 배경으로 등장하였다. 신체부위에 대한 밀접한 접촉이라는 간병일의 특성상 서비스제공자와 수혜자 간 성희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남성 환자의 체중을 감당하기 어려운 여성 간병인의 애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도 작용하였다. 연구자는 이들의 남성성을 ‘삼가는 (low-keyed masculinity) 남성성’이라 명명한다. 전통적 남성성을 최전방에 내세울 수는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남성성의 적극적 모색은 보이지 않고 다만 전통적 가부장제 남성성을 삼가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드러난 간병인 제도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그 개선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a noticeable phenomenon relating to care issues in Korea is that large numbers of migrant Chinese Korean men are working in hospitals as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in the socialization of care and in the change of gender role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s a thorough description about male caregivers through an ethnographic method, since there are no data or previous studies on Chinese Korean male caregivers. The emergence of Chinese Korean male caregivers was possible, firstly, because of the government’s beneficiary policy toward Chinese Koreans in service sectors and, secondly, because of the entrepreneurship of private employment agencies in response to the shortage of caregiving manpower. Since caregiving requires close contact with body parts, the problem of sexual harassment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needs to be avoided. An additional problem is that female caregivers are sometimes unable to bear the weight of male patients. I named the Chinese male caregivers’ masculinity as ‘low-keyed masculinity’, since if traditional masculinity cannot be put in the forefront, there can be no active exploration of a new masculinity.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to hospital caregiver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중국동포 남성 간병인의 고용 배경
Ⅴ. 중국동포 남성 간병인의 일
Ⅵ.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