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on learning outcome in Cosmetology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윤수미(Su-Mi Yun) 어수연(Su-Yeon Eo)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0권 제4호, 69~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2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on innovative behavior against cosmetology learners. The purpose is to derive innovative behavior by enhancing their learning outcomes and self-efficacy and suggest a plan to improve teaching methods. In terms of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data were reviewed. After examining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iscovering relationships with variables,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For data collection,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cosmetology learners in Incheon and Gimpo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 questionnaire categoriz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learning outcome and innovative behavior was constructed. After editing and improving questions through a pilot test, a main survey was performed. A total of 32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21.0 was adopt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cosmetology learners’ accomplishment they feel after solving a difficult problem would enhance self-efficacy. Second, for learning outcomes, diverse practices, learning methods with easy access and instructor’s proper evaluation would be needed.for innovative behavior, teaching/learning strategies might be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ve behavior by suggesting diverse viewpoints and solutions to problems and permitting autonomy to keep learners motivated. Third, for learning outcomes, diverse practices, learning methods with easy access and instructor’s proper evaluation would be needed. This study was performed against limited learners only. Hence, it is anticipated that study results could be generalized by broadening the scope of sampling in future studies. Furthermor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dependent variables between cosmetology and common learners might bring meaningful study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투블럭 커트를 활용한 남성 아이론 퍼머넌트 웨이브 디자인 연구
- 미용서비스업 소상공인의 경영유형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프로젝트기반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 뷰티샵의 조직관리 시스템이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네일 서비스 이용 고객의 공감성, 감정적 가치, 경제적 가치의 차이분석에 대한 연구
- 중년여성의 갱년기 자각증상 정도에 따른 피부관리실 이용 선호도 분석
- 미용관련 과정평가형의 필요성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 헤어샵 종사자의 염색 서비스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 음양오행과 사상체질에 의한 힐링 헤어스타일 이미지 분류
- 동의보감 무운산 처방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사회보험제도에 대한 인식과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판타지 메이크업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디자인 사례 분석
- 퍼스널 컬러 진단 및 결과에 대한 평가 특성에 관한 연구
- 두 업종 이상을 운영하는 미용실의 고객이 인식한 직원의 신뢰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성들의 한국 화장품 구매 행동 변화에 관한 실증적 분석
- 뷰티 학습자의 자아 효능감과 혁신 행동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피부관리실의 소비성향이 가치만족의 관계에서 신뢰감의 매개효과
- 남성화장에 대한 여성의 세대 간 인식 비교
- 모발 염모제 삼원색의 혼합에 따른 헤어 컬러 변화에 관한 연구
- 조직공정성 인식이 심리적 자본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