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Whole body vibration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임용택(Rhim, Yong-Teak)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5권 제1호, 57~6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신진동운동은 1990년대 후반 근기능 트레이닝 분야에 새롭게 도입된 이래 다양한 분야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왔으
며, 관련 연구 또한 질적·양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 상반기에 발표된 전신진
동운동 관련 외국 학자의 연구 60편을 대상으로 처치방법, 연구대상, 종속변인 및 연구결과 등을 고찰하고 그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선수, 건강한
성인, 고령자, 각종 질환자, 장애인 및 실험동물들을 대상으로 신경근기능, 골대사, 호르몬분비, 혈관상태, 체구성
등 신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 웰빙이나 삶의 질, 집중력 등과 같은 심리적, 인지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긍정적인 효과
를 보고하였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처치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보고한 연구들
도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진동의 빈도, 폭, 세기와 같은 전신진동운동의 강도 설정의 차이, 처치기간의 차이, 측정시
점의 차이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하는 인체 기능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면서도 일반화된 프로토콜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Whole body vibration(WBV) has become a popular training method used in various sports, health and rehabilitation related area since the late 1990s. Thus a growing number of studies on human and animal are examining the effect of WBV.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WBV related studies published during the first half of 2014.
Participants, dependent variables, obtained results of each study were considered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athletes, healthy people, various patients and handicapped. Second, dependent variables were not only physiological components such as neuromuscular function, bone metabolism, hormone secretion, arterial stiffness and body composion but psychological and cognitive components such as psychological welbeing, quality of life and concentration. Third, most obtained results were showed positive effect but some were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r negative effect. It can be though that these inconsistent results may due to the difference of treatment such as WBV frequency, amplitude, magnitude and duration etc. Thu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a valid and effective WBV protocol for various individuals.
목차
서론
최신연구의 내용 및 경향 분석
맺음말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대학생들의 비대면 사회연결망 강도가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운동선수의 실패에 대한 공포가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