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f a mindfulness-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in a group counseling case
- 발행기관
- 한국수중건강협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인간과학연구』제2권 제1호, 29~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집단상담 사례현장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을 돕기 위해, 기존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마음챙김 명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재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생 3학년~5학년 1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은 마음챙김 명상의 핵심 요소와 비언어적 자기표현 기법인 동작치료를 통합하여 총 10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참여 관찰 기반 질적 분석을 병행한 혼합연구로 수행되었다. 양적 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정과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통해 통계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질적 분석은 연구보조자, 담임교사, 현장 진행자의 관찰기록을 토대로 정서 표현, 자기 인식, 대인 관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마음챙김 기반 동작 치료프로그램은 자기표현 및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자아존중감 향상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참여 관찰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감정 표현력, 자기 수용, 또래 관계의 긍정적 변화가 질적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마음챙김 명상과 동작치료의 통합적 접근이 초등학생의 심리·정서적 성장과 자기인식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향후 학교 및 상담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reconstruct a mindfulness-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to support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group counseling setting, based on relevant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irteen students from grades 3 to 5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10 sessions integrating core componen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nonverbal expression techniques drawn from movement therapy. The study adopted a mixed-methods approach that combined quantitative analysis with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using a self-esteem scale, and statistical chang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bservation records from research assistants, homeroom teachers, and program facilitators were reviewed to explore changes in emotional expression,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ults: The mindfulness-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led to positive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esteem. In addi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confirmed improvements in emotional expression, self-acceptance, and peer relationships among the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grative approach combining mindfulness meditation and movement therapy is effective in promo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enhancing self-awar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the findings indicate potential for the program’s application and expansion in school and counseling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대학생들의 비대면 사회연결망 강도가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운동선수의 실패에 대한 공포가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