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Breathing Exercise Program on Posture of Old Female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최연아(Choi, Yeon-A) 문달콤(Moon, Dak-com) 김민정(Kim, Min-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9권 제2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흡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여성 노인들의 건강한 일상생활 영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으로 운동군(n=16), 대조군(n=12)으로 하였다. 운동군은 호흡운동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주 3회, 60분
으로 실시하였고, 운동강도는 HRR 40~55%, RPE 11~13 범위 안에서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평상시 생활을 그대
로 유지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version 23)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군에서는 정중선에서
무릎(슬개골)중앙 위치의 좌․우 차이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CG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측면 기준선에서 경골 외측과의 거리를 의미하는 무릎거리의 좌․우 차이 값은 운동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대조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12주 동안의 호흡운동은 여성 노인의 자세 불균형을
개선하고, 변형으로의 이행을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eathing exercise program on posture in old female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emales aged 65 years or more; they were divided exercise group (n=16) and control group(n=12). For 12 weeks,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practiced the breathing exercise program for 60 minutes per each session, three times a week. The intensity of exercise was kept in the ranges of HRR 40~55% and RPE 11~13;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kept ordinary daily lives.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processed by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significant level of all the hypothesis was set to α=.05. First, the results of posture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EG –with respect to left and right difference value of central knee from midline while C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Second, Left and right difference value of knee distance which meant distance from lateral base line to outer shin bone showed increasing tendency while C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Taking above results together, breathing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improved imbalance of knee array of elderly women, delayed transition to transformation.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대학생들의 비대면 사회연결망 강도가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운동선수의 실패에 대한 공포가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