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수업 방법의 측면에서 본 역사수업 성찰 가능성 탐색
이용수 212
- 영문명
- Reflection on Methods and Representation of Teaching History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저자명
- 백은진(Baek, Eunjin)
- 간행물 정보
- 『역사교육연구』제35호, 7~4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역사수업 방법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역사수업 방법 성찰의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범교과적 수업 성찰의 영역보다는 역사교과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 가운데서도 수업의 내용뿐 아니라 방법의 측면에서도 역사교과로서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역사수업을 성찰할 때 유의미하고 적용 가능한 질문들을 제안하였다. 역사교사로서, 역사수업이기 때문에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수업 성찰은 역사교사의 성장과 자기 수업 변화를 위한 유의미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수업 방법의 장단점이나 유의점을 제시하기보다는, 역사교사가 자신의 역사수업을 성찰할 때 역사수업 방법의 측면을 어떠한 물음으로 성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세 가지 측면 ― 역사교사의 교육적 의도, 역사 텍스트의 특징, 역사교사의 설명 방식 ― 을 구체적 사례와 함께 다루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교육적 의도로서의 역사교육관과 가르칠 내용으로서의 역사적 사실이 수업 방법과도 일관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는 점, 수업에서 교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역사 텍스트에 대해서 저자, 출처, 작성 배경 등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강조하고 반영하였는지를 성찰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에서 과거와 현재의 사실을 유추의 방식으로 설명하고자 할 때는 과거 사실의 구체적 맥락을 잘 드러내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history teaching method,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flection on the history teaching method. In particular, the emphasis was on the reflection of lessons specific to history subjects. Among them, in order to reflect not only on the contents of teaching but also on the method, the questions which were meaningful and applicable to the history teacher were suggested.
As a history teacher, reflection, which must be done as a history class, is a significant attempt to increas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history teachers. Therefore, rather than presenting the pros and cons of the specific teaching method, this paper deals with three aspects of the method of teaching history with specific examples. Three aspects are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history teac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text, and the way of history teacher explanation.
Through this, it needs to be emphasized enough to reflect on whether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history teacher, the contents of the lessons, and the teaching methods are consistent. And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of the author, the source,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al text.
Also,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evealing the concrete context of past facts when trying to explain it as an analogy that connects past and present facts in classroom.
목차
Ⅰ. 서언
Ⅱ. 역사수업 방법에 대한 여러 접근들
Ⅲ. 역사수업 방법에 초점을 둔 성찰적 질문들
Ⅳ.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교 교과서 實學 史料 활용의 특징과 개선 방안
- 중등 세계사 교육의 목적에 관한 논의
- 중ㆍ고등학교 교과서 實學 史料 활용의 특징과 개선 방안
- 역사수업 방법의 측면에서 본 역사수업 성찰 가능성 탐색
- 검정 한국사 교과서를 둘러싼 ‘편향성’ 논쟁의 딜레마
- 한강 정구의 회연초당(檜淵草堂) 건립과 교육활동의 의미
- 역사수업에서 ‘젠더’ 수업하기
- 동아시아 전쟁 관련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와 역사교육적 의미
-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과 교육과정의 제언
- 한강 정구의 회연초당 (檜淵草堂) 건립과 교육활동의 의미
- 교실수업에 나타난 발도르프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그 실천
- <동아시아사> 논쟁적 역사 수업을 통해 본 학생들의 시험에 대한 생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