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후유리체박리 환자에서 눈방향전환 초광각안저촬영술의 유용성
이용수 0
- 영문명
- Ultra-wide Field Fundus Photography Using Eye Steering Technique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민한(Min Han Kim) 오종현(Jong-Hyun Oh)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2, 1160~116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증상이 있는 후유리체박리 환자에서 망막열공을 진단하기 위한 초광각안저촬영기의 눈방향전환 촬영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비문증 또는 광시증으로 내원하여 후유리체박리를 진단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초광각안저촬영술의 눈방향전환 촬영 사진 4장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망막열공을 확인하였고, 눈방향전환 초광각안저촬영술의 망막열공 진단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였다.
결과: 총 94명의 94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산동 후 시행한 안저검사에서 42안(45%)이 망막열공을 진단받았다. 망막열공 진단에 대한 눈방향전환 초광각안저촬영술의 민감도는 98% (95% 신뢰구간 88-100%), 특이도는 98% (95% 신뢰구간 90-100%)였다. 전체 망막열공 58개 중에 눈방향전환 초광각안저촬영술에서 상측 28개(97%)와 하측 10개(100%), 비측 6개(100%), 이측 13개(100%)의 망막열공이 확인되었다.
결론: 눈방향전환 초광각안저촬영술은 증상이 있는 후유리체박리 환자에서 망막열공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 그렇지만 모든 증례에서 산동 후 안저검사를 대체할 수는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ultra-wide field fundus photography based on eye steering technique to diagnose retinal breaks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ymptomatic PVD were reviewed. Retinal breaks were independently identified using four eye steering capture images of ultra-wide field fundus photograph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ye steering capture imaging for diagnosing retinal breaks were calculated.
Results: A total of 94 eyes of 94 patients were included. Using fundus examination after pupil dilatation, retinal breaks were diagnosed in 42 (45%) eyes. The sensitivity of the eye steering capture imaging was 98% (95% confidence interval [CI]: 88-100%), and the specificity was 98% (95% CI: 90-100%). Of the 58 retinal tears, 28 (97%) involving the superior quadrant, 10 (100%) involving the inferior quadrant, 6 (100%) involving the nasal quadrant, and 13 (100%) involving the temporal quadrant were identified using eye steering capture images.
Conclusions: Ultra-wide field fundus photography based on eye steering technique was useful for diagnosing retinal breaks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PVD. However, eye steering photography could not adequately replace the fundus examination after pupil dilatation in all cases.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 군날개 재발에 있어서 자가윤부결막이식술 단독 및 추가 윤부절개술의 장기 결과
- 결막 유피지방종의 임상 양상
- 중기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산화영양제 복용 후 장기 관찰 결과
- 유리체절제술과 수정체유화술 동시 수술 시 백내장수술 후 앞방내 에피네프린 주입과 동공 확대
- 위수정체안에서 발생한 외상무홍채증 1예
- 두 개의 수직근수술 후 발생한 전안부허혈 1예
- 우측 윗눈꺼풀 외측 피부에서 발견된 선천 눈물샘소관 샛길 1예
- 단안 선택적 레이저섬유주성형술에서 안압 변동을 보정한 성공예측인자의 분석
- 단안에 국소적으로 발현된 색소정맥옆망막맥락막 위축 1예
- 섬유주절제술과 백내장 병합수술 후 굴절력 오차의 분석
- 후유리체박리 환자에서 눈방향전환 초광각안저촬영술의 유용성
-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내주사 치료의 장기 임상 결과
- 조절펄스광선조사가 눈물막 지질층 두께 및 안구건조증에 미치는 효과
- 버니 다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적 효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