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이용수  0

영문명
Clinical Evaluation of a Rebound Tonometer in Patients Who Underwent Penetrating Keratoplast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종우(Jong Woo Kim) 정지원(Ji Won Jung)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2, 1122~1128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전층각막이식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을 골드만 안압계 및 비접촉 안압계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19안, 정상 대상자의 2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과 정상안 각각에서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결과를 골드만 안압계와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결과와 Spearmann 상관분석을 시행하고 Wilcoxon signed rank test 검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각 그룹에서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결과를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정상안에서는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결과가 골드만 및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결과값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는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872),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11). 하지만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과 골드만 및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770, 0.879). 리바운드 안압계 측정치의 급내상관계수는 전층각막 이식을 시행한 안에서는 0.986, 정상안에서는 0.961로 두 군 모두 높은 재현성을 보였다. 결론: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 안압계 측정값은 골드만 및 비접촉 안압계 측정값과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정상안과 유사하게 높은 재현성을 보여 이들 환자의 안압 측정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measurements of the rebound tonometer (RT),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and noncontact tonometer (NCT) in patients who underwent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an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RT measurem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9 PKP eyes and 28 normal eyes. We compared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ments of the GAT and NCT with the RT in both groups using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IOP, as measured with an RT in each group, was assessed with respect to reproducibility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In normal ey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RT, GAT, and NCT (p > 0.050). In the patient group, the RT measure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AT (p = 0.872), but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btained with the NCT (p = 0.011). However, the RT measurements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ose of the GAT and NCT (r = 0.770 and 0.879, respectively). The ICC of the RT was 0.986 for the PKP eye group and 0.961 for the normal eye group, both of which were highly reproducible. Conclusions: In PKP eyes, the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RT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ose of the GAT and NCT, and the repeatability of the RT measurements was high and similar to those for normal eyes. The RT can therefore be considered a useful method for measuring the IOP in PKP eyes.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우(Jong Woo Kim),정지원(Ji Won Jung). (2018).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대한안과학회지, 59 (12), 1122-1128

MLA

김종우(Jong Woo Kim),정지원(Ji Won Jung).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대한안과학회지, 59.12(2018): 1122-1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