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내주사 치료의 장기 임상 결과

이용수  4

영문명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jections to Treat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Long-term Treatment Outcome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박유정(Yu Jeong Park) 손지성(Gi Sung Son) 김윤전(Yoon Jeon Kim) 김중곤(June-Gone Kim) 윤영희(Young Hee Yoon) 이주용(Joo Yong Lee)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12, 1142~1151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유리체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치료의 장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 진단 후 treat-and-extend 또는 as needed 방법으로 7년 이상 유리체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주사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사 횟수, 최대교정시력 및 중심망막두께 등을 평가하였으며, 장기간 주사 치료에 따른 부작용 여부를 같이 조사하였다. 결과: 총 196명의 196안을 분석하였다(평균 나이 68.6 ± 9.6세, 여성 77명). 평균 78.0 ± 16.5개월 경과관찰하였고, 해당 기간 동안 평균 17.3 ± 13.5회의 유리체내주사가 시행되었다. 치료 전 측정한 최대교정시력은 평균 0.75 ± 0.58 logMAR, 중심망막두께는 349.7 ± 152.6 μm였고, 6개월째 두 수치 모두 최대 호전을 보였으나(p<0.05), 이후 점차 악화 소견을 보이며 7년째 최대교정시력 0.91 ± 0.78 logMAR, 중심망막두께 284.5 ± 105.8 μm로 확인되었다. 주사 후 7년째 시력은 치료 전 시력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기간 주사 동안 총 11회의 안압상승 및 3회의 전방 내 염증 증가 소견이 있었으나 안내염 등의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유리체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치료 후 초기 6개월간의 최대 시력 호전이 있었으나 5년 이상 경과 시 지속적인 시력 저하를 막지 못하였다. 진단 당시 시력이 장기 시력예후와 관련된 중요 예측 인자로 판단되며 적극적인 유리체내주사 치료를 통해 더 나은 장기 시력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We assessed the visual and anatomical outcomes, and the safety profile of long-term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jections (aflibercept, ranibizumab, and bevacizumab) given to treat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AMD). Methods: We analyzed medical records collected over 7 years of treatment-naive NAMD patients who received outpatient clinic- based intravitreal anti-VEGF injections. All were treated employing either “treat-and-extend” or “as needed” protocols at the discretion of the retinal specialist. The number of injections,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injection, and measures of visual acuity (VA), central foveal thickness (CFT),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were recorded. Results: Overall, we assessed 196 eyes of 196 patients (average age 68.6 ± 9.6 years; 77 females). Patients received an average of 17.3 ± 13.5 injections over 78.0 ± 16.5 months of clinical follow-up. The initial mean VA (logMAR) was 0.75 ± 0.58 and the CFT was 349.7 ± 152.6 μm. Both parameters exhibited maximal improvements at the 6-month visit (p < 0.05). However, the clinical outcomes worsened over the 7-year clinical course;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0.91 ± 0.78 and the CFT was 284.5 ± 105.8 μm at 7 years. The BCVA at 7 yea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BCVA. IOP-related events increased 11-fold and anterior chamber reactions increased 3-fold over the years, but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such as endophthalmitis were recorded. Conclusions: The use of intravitreal anti-VEGF agents was associated with initial visual improvements over 6 months but did not prevent the worsening of NAMD over 5 years. The BCVA at the initial visit was a strong predictor of the final BCVA. A more intensive injection schedule might improve long-term outcomes.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유정(Yu Jeong Park),손지성(Gi Sung Son),김윤전(Yoon Jeon Kim),김중곤(June-Gone Kim),윤영희(Young Hee Yoon),이주용(Joo Yong Lee). (2018).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내주사 치료의 장기 임상 결과. 대한안과학회지, 59 (12), 1142-1151

MLA

박유정(Yu Jeong Park),손지성(Gi Sung Son),김윤전(Yoon Jeon Kim),김중곤(June-Gone Kim),윤영희(Young Hee Yoon),이주용(Joo Yong Lee).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내주사 치료의 장기 임상 결과." 대한안과학회지, 59.12(2018): 1142-1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