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cipe for Successful Anti-mining Movement: The Case of Tambogrande, Peru
- 발행기관
- 한국NGO학회
- 저자명
- 오삼교(Sam Gyo Oh)
- 간행물 정보
- 『NGO연구』제14권 제2호, 73~10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땀보그란데 광산 개발 저지는 페루의 광산 갈등에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징적 중요성을 갖는 광산 반대 운동이다. 후리모리 정권의 신자유주의적 개발 드라이브에 반대하는 작은 공동체의 저항운동이 성공을 거두어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사례이다. 땀보그란데는 농업모델과 광산개발 모델이 충돌한 대표적 사례였으며 세계최초로 주민투표를 시행하여 광산개발에 대한 지역 주민의 결정권을 실천한 사례이기도 하였다. 땀보그란데 광산 반대 운동은 주민의 동원과 민주적 참여, 지속가능한 개발 모델에 대한 주민들의 응집된 지지, 그리고 국내외 NGO와의 연합, 유연하고 실용적인 투쟁 전략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확대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의 편향적 개발 지원과 억압을 물리치고 광산 기업을 지역에서 축출하는데 성공하였다.
땀보그란데 반대운동은 지역에서의 광산 개발 저지 성공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에 수정을 가하거나 전국적인 광산 반대운동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땀보그란데 농민들의 광산 반대 운동의 성공은 신자유주의 하에서도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의 삶의 방식과 삶의 터전을 지켜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땀보그란데 주민들이 이 같은 삶의 자율성을 지켜낼 수 있었던 요인들 - 주민들의 풀뿌리 조직과 동원, 결정 메카니즘으로서의 주민투표 채택, 정부의 억압을 완화시킨 평화 전략, 국내외 NGO와의 연대를 통한 사회적 지지기반의 확장, 국민적 정체성에의 호소하는 상징전략 - 은 차후 페루 광산 반대운동이 단순 반대를 넘어 보다 민주적이고 참여적이며 평화적인 저항 모델을 제공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Anti-mining movement against the development of Tambogrande mining project in the state of Piura mark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mining conflicts in Peru. It is emblematic of the successful resistance of the small peasants community against the strong alliance of neoliberal state and multinational mining company. It is also a first case of clash between agricultural development model and mining model for sustainable livelihood. Tambogrande case was also the first attempt to stop mining through popular referendum in Latin America whose step many anti-mining rural communities have followed.
Peasants of Tambogrande were able to expel Canadian mining company through cohesive and continued mobilization, alliance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NGOs, flexible and pragmatic strategy toward the Peruvian society in general as well as toward the state and the company. Their fight was a fight for sustainable livelihood, concerned about the negative impacts from the mining across the town, far from ideological opposition to the neoliberalism itself. Domestic and international NGOs offered technical information, financial support, and even strategic recommendation to recover balance of power against the much stronger development alliance of the state and the mining company. Appeal to the national identity using lemon, a main product of the region, as a symbol of a national dish, ceviche, also served to expand solidarity network in other regions and sectors.
Though the anti-mining movement in Tambogrande was not able to change the state policy on neoliberal mine development nor serve to form anti-mining social movement on a national scale, i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resist neoliberal onslaught through the combination of popular mobilization, flexible strategy and alliance with other sectors in civil society especially NGOs. And it will continue to serve as a model for small communities to resist neoliberal drive to develop mine projects all across the country.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땀보그란데 광산 개발 프로젝트
Ⅲ. 광산 개발을 둘러싼 갈등 구도
Ⅳ. 땀보그란데 갈등 전개 과정
Ⅴ. 땀보그란데 광산 개발 반대 운동의 성공 요인
Ⅵ.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체계 분석:A마을활동가단체를 중심으로
- 시민사회기본법 30년 입법사 : 담론 변화, 반복된 실패, 그리고 전략적 재설계
- 중장년층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