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ut Quotient Sca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김민철(Min Cheol Kim) 박하영(Ha Young Park) 안정혁(Junghyuk An) 김승호(Seung-Ho Kim) 안수경(Su Gyeong An) 최은정(Eun-Jung Choi) 정준호(Juneho Jeong) 신동기(Dongkee Shin) 박종미(Jongmi Park) 최윤영(Yoonyoung Choi) 이동한(Dong Han Lee)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3권 제4호(2019년), 192~19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gut quotient scale (GQ) that we had previously developed by assessing factors on subjective assessment of overall intestinal symptoms an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GQ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 The study was also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GQ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ntestinal health. Data were gathered from the responses of 1,120 individuals (male: 565, female: 555) aged 20-69 years through a nationwide quantitative survey of the general public. The demographic data were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GQ scale items. The total GQ score of Koreans collected in the present study was 79.0 poin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people in Korea had a more negative assessment of their intestinal status based on overall subjective feeling, more so than specific attributes. They also had more negative feelings toward “bowel movement control discomfort” than “perceived intestinal discomfort” or “bowel movement discomfort.” The analysis showed no gender-based differences in the GQ of Koreans; however, there was an age-based difference among females aged 20-39 years who had a lower GQ than other age groups. Regarding marital status, married people showed lower GQ than unmarried/single peopl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Q according to drinking types, heavy drinkers showed greater discomfort with bowel control than light drinkers. Additional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GQ based on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 region. Respondents with positive subjective feelings about their intestinal state and those with healthy bowel movements showed higher GQ.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sed as reference data when establishing national health policies and as basic data for pharmaceutical companies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for content related to intestinal health.
목차
서 론(Introduction)
연구 방법(Research Methods)
결과 및 고찰(Results and Discussion)
결 론(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품명 처방전과 의약품 사용과오(Medication Error)의 상관성에 대한 기초연구
- 시타글립틴 유도체의 합성 및 평가
- 한국, 일본, 대만에서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현황 조사
-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약국의 산제 조제 현황 및 약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한국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Gut Quotient 척도 특징
- 복약안내문에 다빈도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도
- 전단 스트레스에 의한 심방근세포 커넥신 해미채널의 활성화
- 정신과 외래 환자의 색채선호도와 중추신경계 약물치료 환자들의 복약순응도에 관한 기초연구
- 국내 제약기업의 연구개발비 및 마케팅 비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5호(2025년) 목차
- 주요 외국의 의약품 처방 및 조제기간 관련 제도 및 시사점
- 한국과 미국 임상시험 온라인 정보의 임상시험 대상자 중심 사용성 평가: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