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r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Distance from a Fire Sourc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곽지현(Kwark, Ji-Hyun) 김동석(Kim, Dong-Suk) 구재현(Ku, Jae-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27 No.5, 38~4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일러실이나 세탁소, 또는 음식점과 다중이용업소의 주방에 주로 설치하는 자동확산소화장치는 화재발생 시 화염이나 열에 의해 자동으로 약제가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구 중 하나이다. 이 소화장치는 공칭방호면적에 해당하는 소화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방호대상물이 이 범위를 벗어나 있으면 유효한 화재진압이 보장되지 않지만 현행 기준에는 바닥면적에 따른 설치갯수만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방호대상물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소화성능은 달라지게 되며 이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고자 천장높이가 2.5 m인 모형화재실에 본 소화장치를 설치하고 A급, B급 모형가연물과의 수평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일반가연물과 유류가연물을 모두 확실하게 소화할 수 있는 최대수평이격거리는 약 30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n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usually installed in a closed area like a boiler room, a laundry store or a restaurant's kitchen room is one of the fire protection equipments. This extinguisher automatically discharges dry powder, extinguishing fire. As this extinguisher has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applicable to the nominal protection area, objects outside the area cannot be properly extinguished. However only its number is being requested according to the floor area in the related laws, and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depends on the distance from a fire source.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xtinguishing capability of the automatic spreading fire extinguisher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from a fire source. It appeared that the maximum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was about 30 cm for both class A and B fire to be certainly extinguish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DS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화재 시 승강장 제연조건의 적정성 평가
- n-Propanol과 Formic acid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측정
- 자동확산소화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른 소화성능평가연구
- 스프링클러설비 화재안전기준 개정에 대한 고찰
- 내화강재의 고온특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열매유 보일러 내부화재에 따른 온도 및 속도분포 해석
- 옥외형 화재경보시스템의 개발과 성능시험에 관한 연구
- 앙와위와 좌측 기울린위치에서의 좌심실의 공간적 관계 변화. 임신부 심폐소생술 측면에서
- 가압기 지지대 볼트 연결부의 건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한국 A급, B급 1단위 화재 시험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의 정량적 연구
-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 유도체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의 연소특성
- 이성분계 용액의 최대인화점 현상의 측정과 예측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대응방안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진압실험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 융합교육 문헌 고찰을 통한 유아융합교육과정 제안
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