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축물 화재 시 피난개시과정의 주요 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 일본 등 해외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27

영문명
A Study on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the Process of Beginning Egress during the Fire at the Buildings - Focus on Overseas Fire Cases including the Japanese -
발행기관
한국화재소방학회
저자명
박재성(Park, Jae-Sung)
간행물 정보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26 No.2, 59~6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재가 발생하고 피난이 개시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재실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그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은 피난안전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난개시과정을 예측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연구문헌과 이론, 화재사례 등의 비교 분석 등을 하였다, 그 결과로서 화재발생장소와의 공간적 위치와 격리에 의해 피난개시까지 경과시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며, 후각 및 청각적 징후는 그것을 화재라고까지 바로 인지하지 않으며 시각적 징후 또는 피난방송, 다른 사람에 의한 통보 등에 의해 화재로 인지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화재를 인지한 후 바로 피난하는 재실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피난개시까지 경과시간은 건물의 규모가 클수록 재실자별 경과시간의 편차가 크고, 호텔과 같은 숙박용도는 건물의 규모에 상관없이 경과시간의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Predicting occupants' behaviors from the start of the fire to egress and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such process are critical matters that can decide success and failure of safe egress. In this research, research literatures and theories and fire ca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so as to prepare logical grounds that could predict the process of beginning egres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elapsed until people start evacuating due to spatial positions and quarantine from the place from which the fire originated and their auditive and olfactory signs did not recognize the fire instantly and they showed a strong tendency to recognize the fire by visual sign, warning announcement for egress and notice by others. An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only a very small minority of occupants evacuated as soon as they perceived the fire and that variation in the time elapsed until evacuation begun for occupants were wider as the size of building was bigger and that accommodations such as hotel had wider variation in the time elapsed regardless of the size of building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성(Park, Jae-Sung). (2012).건축물 화재 시 피난개시과정의 주요 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 일본 등 해외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6 (2), 59-68

MLA

박재성(Park, Jae-Sung). "건축물 화재 시 피난개시과정의 주요 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 일본 등 해외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6.2(2012): 5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