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층건물 피난계단에서의 연돌효과 저감방안 연구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Reduction Method of Stack Effect at Stairwell of High-Rise Building
발행기관
한국화재소방학회
저자명
김정엽(Kim, Jung-Yup) 신현준(Shin, Hyun-Joon)
간행물 정보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25 No.5, 14~20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건축물이 고층화되면서 피난을 위한 주요 시설인 피난계단에서는 수직적 구조로 인해 연돌효과의 영향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동절기에 연돌효과로 인한 계단실의 압력상승으로 피난문을 열고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피난계단의 연기안전을 위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운전성능에 교란이 발생되기 때문에 피난계단에서의 연돌효과를 저감시켜야 더욱 안전한 대피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물에서의 현장실험을 통해 피난계단에서의 연돌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고,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정량적이고 상세한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장실험 결과 피난계단의 저층부에서 피난계단으로 공기가 급기되고 고층부에서 피난계단의 외부로 공기가 배기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생성시켜 준다면 고층 건물의 피난계단에서의 연돌효과가 저감될 것으로 예측된다.

영문 초록

As the height of the building increases, the stack effect in stairwell that is main facilities for evacuation becomes stronger. While the pressure rise in stairwell causes difficulties on opening the door for evacuation and has effect on smoke control system, reduction of stack effect will be necessary for providing more safe evacuation environment. The field experiments on pressure field in high-rise building are carried out to present reduction method of stack effect and the numerical analyses using network model are proceeded to design quantitatively the reduction method. As the air flow supplied from outside in lower stair and exhausted to outside in upper stair is formed in stairwell, the stack effect in stairwell is expected to be decrea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엽(Kim, Jung-Yup),신현준(Shin, Hyun-Joon). (2011).고층건물 피난계단에서의 연돌효과 저감방안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5 (5), 14-20

MLA

김정엽(Kim, Jung-Yup),신현준(Shin, Hyun-Joon). "고층건물 피난계단에서의 연돌효과 저감방안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5.5(2011): 14-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