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에 관한 고찰
이용수 51
- 영문명
- A Review on Spalling Phenomenon of High Strength Concrete during a Fire Accident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형두(Kim, Hyung-Doo)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20 No.2, 80~8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찰은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주요 이슈 중의 하나인 폭열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폭열의 정의, 분류 및 각각의 특징, 발생원인과 그 반응기구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폭열은 급격한 온도 상승, 높은 수분 함유량, 낮은 물시멘트비(W/C), 콘크리트 내에 국부적인 높은 응력 발생 등과 같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을 토대로 폭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게 콘크리트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방법, 콘크리트의 비산을 억제하는 방법, 그리고 빠르게 내부 수분을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고찰에서는 이러한 방법 가운데 가장 효율적인 폭열 방지 방안으로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건조시킴으로써 폭열에 이르게 하는 함수율 이하로 낮추어서 콘크리트 자체의 내폭열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실제 강제건조를 통해 함수율을 어떤 임계치(critical value) 이하로 낮추게 되면 폭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수동적인 자연건조 외에 강제건조 등으로 함수율을 낮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계치 결정을 위해 추가적인 많은 실험 및 자료가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palling phenomenon which is the one of the main issues of high strength concrete.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causes and the reaction mechanism of the spalling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previous literatures. The spalling phenomenon occurs when several factors such as sharp temperature increase, high water content, low water/cement ratio and local stress concentration in material combine in the concrete material. On the basis o f the factors, the preventing methods from the spalling are known as decrease of temperature increase, preventing of concrete fragmentation and fast drying of internal moisture. In this study, the controlling method of water content below some critical value was proposed as the most effective spalling-preventing method among the spalling-preventing methods. The spall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by adjusting the water content in the high strength concrete. Therefore, an enforced drying method is needed to decrease the water content below a critical value. Additional experimental data should be generated to determine the critical value of water content for preventing the spalli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터널화재시 부분배연설비의 운영방안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 파스콘 트로프의 연기유독성에 관한 연구
- 청정실 화재의 시뮬레이션 II. 제연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의 필요성
-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에 관한 고찰
- 지하철 차량 방화사고 초기대응에 관한 연구
- 전통사찰문화재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화재피해사례를 통해 본 방재대책 -
- CO₂소화제 노즐 분사각 및 분사속도가 CO₂농도분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 한국응급의료서비스 민관파트너십 도입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 내장재의 발화시간, 열방출율 및 최대화염 높이의 예측을 위한 반응표면방법론의 활용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