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파스콘 트로프의 연기유독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Toxic Gases and Smoke Hazard of PASCON Trough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이창우(Lee, Chang-Woo) 현성호(Hyun, Seong-Ho) 최돈묵(Choi, Don-Mook)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20 No.2, 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파스콘 트로프의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독성 평가를 위해 KS F 2271에 의한 연기유해성 시험 및 NES 713방법에 의해 연소가스를 분석하고, 독성지수를 확인해 봄으로서 연소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파스콘 트로프는 KS F 2271인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기준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NES 713 방법에 의한 파스콘 제품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가 전부임을 알 수 있으며, 연소가스의 독성지수는 0.944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제품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30분 이상 노출되어야 위험한 농도에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난연성능 요구시 연기유독성 평가나 연기의 발생량을 규제하지 않고 있는 국내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파스콘 제품의 연소가스 독성지수는 비교적 낮은 수치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estimate the effect of smoke and combustion gases on humane body indirectly through measuring the toxicity of those. For this purpose, the toxic index of smoke and combustion gases was investigated by smoke hazard test and analysis of smoke which were conducted by KS F 2271 and NES 713 method respectively. It i s proved by KS F 2271 method that PASCON trough is suitable to the testing standard of interior material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by NES 713 method that combustion gases occurring in PASCON product were only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and the smoke index of those was 0.944. This value means that the hazard effect of smoke gases on humane ! body can possibly happens when exposed to the smoke gases for more than 30 min. In aspect of the domestic situation that have not regulated the hazard estimation and the emissions of smoke when the flame retarding ability of the products have been requested, the toxic indexes of PASCON products are comparatively low.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터널화재시 부분배연설비의 운영방안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 파스콘 트로프의 연기유독성에 관한 연구
- 청정실 화재의 시뮬레이션 II. 제연설비와 스프링클러설비의 필요성
-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에 관한 고찰
- 지하철 차량 방화사고 초기대응에 관한 연구
- 전통사찰문화재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화재피해사례를 통해 본 방재대책 -
- CO₂소화제 노즐 분사각 및 분사속도가 CO₂농도분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 한국응급의료서비스 민관파트너십 도입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 내장재의 발화시간, 열방출율 및 최대화염 높이의 예측을 위한 반응표면방법론의 활용성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